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식품 방사능 모니터링 감시체계 구축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7-11-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연구개발 목표 ○ 최종목표 - 식품 방사능 모니터링 감시 및 신속대응 체계 구축으로 국민 안심 제고 ○ 단계별 목표 - 전국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에 식품 방사능 검사체계 구축 - 국내 지역 6개소(지방 식약청 또는 시·도)에 식품 방사능 검사 체계 구축 - 국내 농·축·수산물의 방사능 모니터링 조사 - 식품 방사능 안전관리 소비자 안심제고 연구개발 내용 □ 국내 지역·권역별 식품 방사능 감시체계 구축 ○ 전국 시·도 보건환경연구원('17년) 및 국내 지역 6개소(지방 시· 도)('18∼'19년)에 식품 방사능 검사체계 구축 - 식품 방사능 감시 상시 운영체계 확립 * 자동시료주입장치 등 장비 도입·운영 및 실험실 전처리 시설 확충 등('17) * 알파/베타핵종 분석 장비 도입 ·운영 및 실험실 전처리 시설 확충 등('18∼'19) - 식품 방사능 분석 표준 매뉴얼 확립 및 검사능력 제고 * 시료 전처리 방법, 감마핵종 측정 및 결과 분석 등 - 전담인력에 대한 방사능 분석법 교육·훈련 * 대상 : 전국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및 지방 식약청 □ 국내 농·축·수산물의 방사능 모니터링 조사 ○ 대 상 : 국민 다소비 및 방사능 검출 식품 100개 품목 * 국민영양조사(일일섭취량) 및 식약처 홈페이지(미량검출 품목)참조 ○ 핵 종 : 감마핵종, 알파 및 베타핵종(감마핵종 검출 시) - (알파)플루토늄(Pu238,239,240) 등, (베타)스트론튬(Sr-90)등, (감마) 세슘(Cs-134,137) 및 요오드(I131) 등 ○ 국내 유통식품 방사능 조사 결과 분석·평가 - 방사능 미량검출 원인 분석 - 식품 중 검출된 방사능의 인체 위해성 평가 - 조사 결과의 D/B 구축 및 결과분석 - 식품 방사능 분석능력 및 측정 품질 확립 * 전국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및 지방 식약청 대상 숙련도시험 □ 식품 방사능 안전관리 소비자 안심제고 ○ 식품 방사능 안전에 대한 소비자 설문조사 - 대 상 : 17개 시·도 거주 소비자, 유관기관(단체) - 내 용 : 식품 방사능 안전관리에 대한 대국민 인지도 및 신뢰도 ○ 식품 방사능 안전관리 위해소통 전문가 훈련(Risk Communicator Training)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 식품 방사능에 대한 교육 및 홍보 - 외국 사례 수집 - TV, 신문, 인터넷 등 공중 매체를 통한 홍보 자료 제작 - 식품 방사능 안전관리에 대한 소비자 교육 - 교육교재 발간 연구개발성과 ○ 15개 보건환경연구원에 식품 방사능 검사 장비 구축 - 13개 보건환경연구원에 감마 방사능 검사를 위한 시료 자동 주입 장치 설치 - 2개 보건환경연구원에 감마 방사능 검사 장비 설치 - 식품 방사능 분석의 품질관리를 위한 숙련도 시험 실시 ○ 버섯에 대한 방사능 준위 현황 파악 - 감마 방사능 : 825건 - Sr-90, Pu : 각 80건 ○ 식품 방사능 안전관리에 대한 교육 및 홍보 자료 개발 - Risk communicator 양성용 교재 개발 - 드로잉애니메이션 “식탁에 안심을 놓다” 개발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 15개 보건환경연구원에 구축된 식품 방사능 검사 장비를 사용하여 24시간 연속 식품 방사능 검사에 활용할 수 있으며, 방사능 검사 장비의 추가 도입 필요성을 제거함 ○ 버섯에 대한 방사능 준위의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버섯을 식품방사능의 지표 식품으로 선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였음. ○ 이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 및 홍보를 위해 개발된 자료들은 식품 방사능 안전관리에 대한 교육 및 홍보를 위한 보조 자료로 활용이 가능함. (출처 : 요약문 3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80000005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