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새로운 유전자 스크리닝 시스템을 통한 프로바이오틱스 유전자 기능 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0-01-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세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연구 목적 ◇ 1) 공생미생물 균총의 분포 조성 변화에서 질병과의 상호 관련성을 찾는 기존의 연구 방향을 유전자 수준의 연구로 전환하기 위한 스크리닝 플랫폼을 구축하고 2)유용 프로바이오틱스 균주가 숙주에 미치는 영향을 유전자 수준에서 이해할 뿐 만 아니라 3)특정 공생미생물 균주(프로바이오틱스 후보균 등)를 분리 배양이 아닌 유전자 탐색으로 기능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함. ◇ 이를 위해 특정 외부 자극에 대응하여 발현이 유도되는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들의 유전자를 탐색하는 새로운 유전자 스크리닝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functional metagenomics 연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최종적으로는 기능성 유전자의 탐색을 통해 질환 특이적인 환자 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또는 postbiotics의 개발 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함. ◆ 연구 내용 ◇ 프로바이오틱스 균주 유래 DNA 절편을 이용한 promoter trap 유전자 스크리닝 플랫폼 구축 및 활용 • 식약처 기준 고시형 프로바이오틱스 19종에 대한 각각의 strain 균주의 배양 관련 특성 분석 • 19종의 프로바이오틱스 균주의 genome database 구축 • 19종의 genome으로부터 유래된 무작위 DNA 절편을 pPT01 promoter trap plasmid에 삽입한 plasmid 라이브러리 구축 • Amplicon sequencing을 통한 라이브러리 다양성 검증 • 각각의 plasmid로 형질 전환된 E. coli χ7213 균주 라이브러리 구축 ◇ 마우스 장내에 colonization을 유도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유래 유전자 스크리닝 • E. coli χ7213 균주 라이브러리를 (i) SPF, (ii) Germ-free, (iii) Gnotobiotic 마우스에 이식한 후, 성장/증식된 χ7213 clone을 분석 • Host 와의 상호작용에 의한 유전자 발현 vs. 다른 공생미생물 동시 존재 상황에서의 유전자 발현 비교 • 특정 공생미생물 균주가 이미 정착해 있는 Gnotobiotic 마우스에서 유전자 발현 탐구 • 마우스 장내에서 공생미생물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Host factors 및 microbe factors 규명 ◇ 다양한 숙주 환경에 반응하는 프로바이오틱 균주 유래 유전자 스크리닝 • (i) 특이 nutrients섭취, (ii) 병원성세균 감염, (iii) 염증반응이 유도된 환경에서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프로바이오틱 유전자 동정 • 각 환경에서 동정된 유전자 및 그와 유사한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는 프로바이오틱 균주의 증식 여부 동시 확인 • 각 실험 조건에서 유도되는 마우스의 증상과 동정된 프로바이오틱스 유전자간의 상호작용 규명 • 본 세부과제의 수행을 통해, 대표적 프로바이오틱 균주들의 유용한 기능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을 규명하고 이들이 만들어 내는 유전자 산물의 기능을 밝혀 프로바이오틱 균주의 특성을 유전자 수준에서 이해하고자 함. □ 연구개발성과 (연구 논문 발표 총 3편) ◇ 본 연구진은 'Disruption of gut ecosystem by antibiotics'라는 제목의 총설 논문을 Yonsei Medical Journal에 발표하였음 (2018년 1월). ◇ 또한, 본 과제 관련 연구 진행 중 'Stringent response regulates antibiotic tolerance by modulating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in Vibrio cholerae' 제목의 논문을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018년 2월)에 게재함. ◇ 과제 관련 연구 결과를 'Commensal-derived Metabolites Govern Vibrio cholerae Pathogenesis in Host Intestine' 제목의 논문을 Microbiome (IF=10.465)에 게재함 (2019년 9월). (유전체 정보 제공 및 활용 3건) ◇ Bacteroides vulgatus의 전체 유전자 서열을 분석하여 기능성의 유래 및 안전성을 검토하고 결과를 NCBI database에 업로드 함. (Accession number: CP043529, Bacteroides vulgatus VIC01 whole genome sequence, 20190910 released) ◇ 항염증 치료용 프로바이오틱 후보균주인 Bifidobacterium longum 2주를 전체 유전자 서열을 분석하였음. 분석 종료 후 NCBI database에 업로드하고 활용할 예정임. (국내 특허 출원 1건) ◇ Bacteroides vulgatus 균주의 감염성 질환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관련 내용을 '장내 병원성 세균 억제능 미생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장내 병원성 세균 유발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특허 출원함 (출원 번호: 10-2019-0112801) ◇ 감염 억제 효능을 보인 공생미생물 균주(Bacteroides vulgatus) 동정 및 감염 억제 기전 이해하여 감염성 질환 대상 프로바이틱스로서의 가능성 제시 및 스크리닝 플랫폼 대상 균주로서 활용성 확보 ◇ Major Gut Microbes among Koreans (MGMK) 균주 12종 선별 및 이들의 장내 정착 능력 규명 (Germ-free 마우스를 활용) ◇ MGMK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대장균을 surrogate host로 하는 스크리닝 라이브러리 제작 ◇ MGMK 라이브러리 균주를 대상으로 하는 스크리닝 플랫폼을 대상으로 장내 환경에 반응하는 유전자 탐색 가능성 제시 틱스 또는 postbiotics의 개발 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 Promoter trap 스크리닝 시스템의 활용을 통한 신개념 유전학 기반의 접근방법을 확보하였으며 추가 다양한 장내 미생물을 대상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제작 가능성 제시 ◇ 한국인에 유용한 프로바이오틱 균주 발굴 및 중요 유전자들의 기능적 해석에 있어 high-throughput screening 기술 방향 모색 ◇ 난배양성 프로바이오틱 균주의 유전자 기능 규명 ◇ 건강한 장 환경 유지를 위한 프로바이오틱 균주의 역할 규명 및 환자 맞춤형 프로바이틱스 제공 ◇ 인체 위해미생물 제어를 위한 프로바이오틱스 및 포스트바이오틱스 개발 기술 확보 (출처 : 요약문 4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00000460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