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인슐린저항성과 대사증후군에서의 유전적 다양성 및 질환 예측 바이오마커 연구 동향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0-08-10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이상후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 서론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MetS)은 abdominal obesity(복부지방), hyperglycemia(고혈당증), hyper-triglycemia(고중성지방혈증), low HDL-cholesterolemia(저HDL-콜레스테롤혈증) 및 hypertenstion(고혈압) 같은 대사질환이 최소 3가지 이상이 복합된 임상적 형태로 정의되며, MetS가 있는 사람은 심혈관 이환율과 사망률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높으며, 제2형 당뇨와 뇌졸중 같은 만성질환의 강력한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1, 2] 전 세계적으로 비만 인구의 증가와 함께, MetS가 global epidemic되고 있다. 특히, 아시아 인구의 약 12~37%, 유럽인의 약 12~26%가 MetS로 진단되고 있다.[3] 한국 성인 남녀(만 19세 이상 51,177명)를 대상으로 지난 10년간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을 조사한 국민건강영양조사(2008~ 2017) 결과에 의하면, 남성은 MetS이 2008년 24.5%에서 2017년 28.1%로 증가 추세를 보였고, 여성은 2008년 20.5%에서 2017년 18.7%로 약간 감소 추세를 보였다. 이런 이유는 서구화된 식생활 및 운동 부족 등이 주요한 원인으로 이유로 분석되고 있다.[4] 인슐린 자극에 대한 세포 내 비-반응성 상태인 인슐린저항성(Insulin resistance, IR)은 MetS의 5가지 위험인자와 제2형 당뇨 및 심혈관질환과도 밀접히 관련되어 있는 중요한 대사적 질환으로 분류되고 있다.[5] 비록, MetS과 IR가 개인의 생활 습관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알려져 있지만, 또한 이 질환들의 발병이 유전적 요인에 의해서도 결정된다고 알려져 있다.[6, 7] 더욱이 유전적으로 영향을 받는 IR은 상대적으로 흔한 몇 가지 유전자변이가 원인이라고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MetS과 IR의 hetero-genous 및 polygenic 특성들을 밝히기 위해 이러한 흔한 유전자변이와의 연관성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런 표현형 및 유전형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해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GWAS)와 next-generation sequencing(NGS) 기술을 이용하여, MetS 및 IR과 밀접한 표현형과 관련된 일반 유전적 변이(common genetic variants) 및 희귀 유전적 변이(rare genetic variants)를 발굴하고 임상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노력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MetS과 IR에서의 유전적 다양성 및 질환 예측 유전자 생체지표의 연구 동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원문은 파일 다운받기를 해주세요 :-)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165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