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목표 ○ 잡곡 유전자원의 수집, 증식, 보존 및 평가 ○ 자원의 중복보존, 분양, 정보 DB구축 및 제공 ○ 농업유전자원 국가 관리체계 확립을 위한 정보 제공 ○ 신품종 육성, 신물질 탐색, 산업신소재 발굴 및 응용기술 개발을 위한 소재 제 공 ○ 토종 및 재래종 잡곡자원의 확대와 보존을 통한 국가 생물자원 경쟁력 제고 연구내용 가. 수집 1) 목적 ○ 야생, 재래종, 지방종 등 수집된 유전자원의 소재를 발굴하여 신품종 육성, 신물질 탐색, 산업신소재 발굴 및 응용기술 개발을 위한 소재 제공 ○ 수집 방향 국내 : 각 농가, 농업단체 및 기관의 보유자원 및 山地, 오지 및 도서지방으로 부터 잡곡 토종 및 재래종 수집 국외 : 중국 동북3성 및 운남성, 일본 등 동남아 등의 농가 또는 농업연구기관 으로부터 잡곡자원 도입.수집 2) 배경 및 필요성 ○ 국민경제 수준의 향상으로 잡곡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잡곡이 웰빙·건강식품으로 인식되어 소비자 선호도가 높아지므로 다양한 용도의 잡곡 자원 연구 개발의 필요성 ○ 그동안 정부정책 및 R&D가 주식작물에 치중되어 잡곡자원에 대한 연구 개발 은 그동안 등한시 된 점이 많아 잡곡자원 수집 및 관리가 미흡하여 동남아 해 외자원을 적극 발굴 ○ 특히 자원의 소질이 다양한 동남아 및 중국(동북삼성 및 하북성 등)으로부터 잡곡자원 수집 ○ 국내 산간오지 및 섬지역을 중점으로 토종 잡곡종자를 중점 수집 3) 수집 및 도입계획 ○ 대상 작물 : 수수 40자원, 조 20자원, 기장 20자원 (수수 국내 30점, 국외 10점, 조 국내 15점, 국외 5점, 기장 국내 15점, 국외 5점), 총 80점 ○ 대상 지역 : 국외 : 중국 동북3성 및 운남성, 일본 등 동남아 국내 : 山地, 오지 및 도서지방 ○ 도입 기관 : 각국의 농업연구기관, 중국의 경우 중국농업과학원, 중국 각성? 현농업과학원 ○ 수집 시기 : 연 중 4) 수집자원의 활용계획 ○ 증식 및 특성조사 계획 : 수집된 자원 중 국내 및 해외수집종의 경우 종자량이 적은 자원은 증식하여 특성 검정 등 시행 분양 : 로컬 푸드용, 연구재료 또는 육종소재로 활용 . 우수 잡곡 유전자원 로컬푸드용으로 분양 ○ 연구재료 또는 육종소재로 활용 : 잡곡유전자원 중 형질평가를 통하여 특이형질(난쟁이 초형, 수형, 대립형, 내 병성, 내냉성, 내한성, 내충성, 기능성물질 등) 탐색 및 육종소재로 이용 나. 증식 1) 자원출처 및 증식점수 : 자체자원 120점 2) 증식계획 ○ 대상 작물 : 수수 80종, 조 40종 ○ 증식 방법 : 유전자원 포장 및 온실에 파종하여 증식 ○ 재식 거리 : 수수(80×20cm), 조(80×10cm) 다. 특성평가 1) 평가점수 : 총 120점 (수수 80종, 조 40종) 2) 평가항목 : 수수 : 질적 9항목, 양적 4항목, 이미지 3부위(식물체, 이삭, 종자) 조 : 질적 8항목, 양적 5항목, 이미지 3부위(식물체, 이삭, 종자) 기대효과 ○ 잡곡유전자원의 국내 실태 파악 및 지속적 수집, 보존 및 분양 ○ 유전자원 특성평가로 고부가가치 자원선발과 이용성 증대 ○ 잡곡유전자원 보존방법 개발 및 유전자원 특성 검정으로 내충성, 내병성, 내한성, 내 동성, 내재해성 등 작물 육종소재로 활용 ○ DB화된 모든 자료들을 공개함으로써 유전, 생명공학, 생리, 생태, 식품 및 생화 학 연구에 다양한 정보 제공 ○수집자원 중 특이유전자원(고수량, 재해저항성, 특이생태형, 기능성 물질 고함유 등) 새로운 품종육성 및 신소재 개발을 위한 소재로 이용 ○고품질 및 고기능성 물질 자원을 이용한 지역특화작목 개발로 농가소득 증대 ○ 영양 및 약리성분 보유 재래종 유전자원의 선발 활용 (출처 : NTIS 요약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