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인체 부착형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 구현을 위한 원천 뿌리기술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8-01-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연구내용 ㅇ 웨어러블 센서 표면처리 기술 개발 - 비침습 방식의 다공성 나노구조 표면처리 기술 개발 - 전류 분석 기반의 고감도 젖산 센서 소재 기술 개발 ㅇ 웨어러블 에너지 하베스팅 열처리 기술 개발 - Lead(Pb)-based 완화형 강유전 소재기술 개발 - 강유전 나노소재 박막 증착 기술 개발 ㅇ 웨어러블 헬스케어 패키지용 접합 기술 개발 - 웨어러블 기판 배선 소재 기술 개발 - 웨어러블 기판 배선형성 기술 개발 연구개발성과 ㅇ 정성적 성과 - 센서용 비효소식 젖산 검지 소재 발굴 및 다공성 NiO 제조 원천기술 확보 - 에너지 하베스팅용 PZT 분말/벌크/박막 제조 공정기술 확보 - 복합 배선소재 개발을 통한 플렉서블 배선의 굽힘/인장 신뢰성 확보 ㅇ 추가 성과 [국내특허출원: 5건] 1. 금속-유기 구조체를 포함하는 비효소 촉매,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비효소 센서 2. 고 신축성 배선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3. 신축성 기판에 사용되는 전선 구조체의 제조방법 4. 신축성 기판에 사용되는 전선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5. 나노복합솔더의 제조방법 [SCI 논문 20%이내: 3편] (1) Tungsten Micropowder/Copper Nanoparticle Core/Shell-Strcutured composite powder synthesized by inductively coupled thermal plasma process, Kyou-Hyun Kim, Hanshin Choi, Chulwoong Han, Metall. Mater. Trans., 48A, 439-445 (2017) (2) Development of dark field image processing technique for the investigation of nanstructures, Jongchul Jeon and Kyou-Hyun Kim, J. Korean Powder Metall. Inst., 24(4), 285-291 (2017) (3) High-Yield One-Pot Recovery and Characterization of Nanostructured Cobalt Oxalate from Spent Lithium-Ion Batteries and Successive Re-Synthesis of LiCoO2, Young Min Park, Hana Lim, Ji-Hoon Moon, Ho-Nyun Lee, Seong Ho Son, Hansung Kim and Hyun-Jong Kim, Metals, 7 (8), 303 (2017) [수상] (1) 추계대한금속재료학회 학생구두발표 우수상(Effect of Sample Preparation History on the Domain Structure of Relaxor-ferroelectric Material, Jongchul Jeon, Kyou-Hyun Kim*) ㅇ 기술스펙 달성 성과 기술적 우수성 ㅇ 비효소식 젖산 검지 다공성 NiO 세계 최초 개발 및 NiO와 Ni(OH) 2 의 젖산 검지 메커니즘 제안 ㅇ 습식법을 이용하여 PZT (Pb(Zr x Ti 1-x )O 3 ) 박막 제조 기술 확보 ㅇ 플렉서블 배선용 금속-유기물 복합 소재를 개발 굽힘 및 인장에 대한 뛰어난 신뢰성을 보이고 저항변화율이 매우 낮음 성과활용 ㅇ 비효소식 젖산 검지 소재 개발 방법을 기반으로 글루코오스, 호르몬, 요소 등을 검출하는 고감도 바이오 센서 소재를 개발하고, 추가 연구과제로 확대 ㅇ Pb 기반 압전 박막 및 분말 제조 기술 확보를 통해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 초음파 센서 제조에 활용 ㅇ 플렉서블 배선용 금속◦유기물 복합체는 카본계 분말과 혼합을 통해 온도 및 압력센서로 제품화가능함. - 카본계 분말과 혼합비율 최적화를 통해 NTC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성질 또는 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을 보이는 온도센서 개발가능함. - 유연압력센서 개발이 가능하며 터치센서로 활용가능함. ( 출처: 연구요약 3p )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80003646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