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스마트폰을 이용한 IoT 게이트웨이 표준화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8-0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주)브로드웨이브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핵심표준 및 기술 스마트폰을 IoT 게이트웨이로 활용함에 따른 경제적인 IoT 서비스 환경제공 및 표준기술 확산과 상용화를 위한 국내·국제 표준화 개발 진행 연구개발 배경 ◯ 연구개발 배경 및 동기 - 2017년 03월 21일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발표한 '2016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최종보고서'에 따르면 만 12세 이상 스마트폰 이용자의 평균 교체주기는 2년 7개월로 조사됨. 이는 이동통신사 및 제조사들의 스마트폰 과열 마케팅이 겹치면서 스마트폰 교체주기가 빨라진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 이처럼 대두되고 있는 이슈를 바탕으로, 유휴 스마트폰 재활용을 위하여 스마트폰의 다양한 자원(센서, 멀티미디어 및 통신 등)을 표준화하여 IoT 환경에서 스마트폰을 게이트웨이로의 응용 자원으로 이용하고자 함에 있음 - 스마트폰 IoT 게이트웨이 표준개발을 통하여 IoT 서비스를 사용자 중심에서 경제적이며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함 ◯ 연구개발 필요성 - 스마트폰의 고성능화 및 다기능화에 따른 IoT 서비스 연동을 위하여 표준화된 스마트폰 자원에 대한 IoT 연동 규격 기반이 필요하며 이를 기반으로 IoT 기술과 연동하기 위한 스마트폰 인터페이스 표준기술이 요구됨 - 미사용 스마트폰 및 파손된 스마트폰 증가에 따라, 스마트폰 재활용에 대한 이슈가 대두되고 있으나, 현재 비표준화 인터페이스 및 버티컬 서비스에 의존하고 있어 제한된 이용성을 나타내므로 표준화된 규격개발이 필요함 - 스마트폰의 경우 안드로이드 등과 같은 O/S를 포함하고 있는 고성능 MCU 및 Wi-Fi, Bluetooth, NFC 등 다양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특성으로 IoT 게이트웨이 하드웨어 플랫폼으로의 활용이 가능하므로 표준화가 요구됨 최종목표 ◯ 스마트폰 IoT 게이트웨이 활용을 위한 인터페이스 표준기술 개발 - 스마트폰 IoT 게이트웨이 표준매퍼 및 IoT 인터페이스 표준기술 개발 - 스마트폰 IoT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연동 파일럿 시스템 개발 ◯ 스마트폰 IoT 게이트웨이 표준 확산을 위한 국내 및 국제 표준화 추진 - 스마트폰 IoT 게이트웨이를 위한 스마트폰 자원모델 관련 등 국내 단체표준화(TTA: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추진 - IoT 게이트웨이 공통 요구사항 및 수용능력, IoT 게이트웨이 서비스 디스커버리 기술개발을 위한 국제 공적표준화(ITU-T SG20 Q2/20,Q3/20) 추진 - OCF 골드 파트너 멤버십 역임을 통한 표준기술 및 오픈소스 확산을 위한 국제 사실표준화 추진 ◯ 스마트폰 IoT 게이트웨이 표준기술 상용화 추진 - 스마트폰 IoT 게이트웨이 서비스 확산을 위한 리소스 기술 개발 및 표준기술 적용 시제품 LiME IoT Family 제작 - 표준기술 확산 도모와 상용화를 위한 개방형 오픈 커뮤니티 LiMECode(http://www.limecode.co.kr) 웹 사이트 운영을 통한 표준기술 공개 수행내용 및 결과 ◯ 스마트폰 IoT 게이트웨이 활용을 위한 인터페이스 표준기술 개발 - 스마트폰을 이용한 IoT 서비스 요구사항 정의 및 이에 따른 프레임워크 표준기술 개발 □ 스마트폰을 이용한 IoT 서비스 개발을 위해 요구되는 서비스 및 기능 등에 대한 시스템 표준 개발 - 스마트폰 IoT 자원 표준 매퍼 개발 □ 스마트폰의 다양한 하드웨어 자원(센서 및 액추에이터)을 표준 IoT 플랫폼에 연동하기 위한 표준 개발 □ 스마트폰의 자원이 표준 IoT 플랫폼에서 동작하기 위한 연동 로직 개발 - 스마트폰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표준 개발 □ 이더넷, 지그비, 시리얼 포트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의 센서를 표준 IoT플랫폼에 연동하기 위한 표준 개발 - 스마트폰 게이트웨이와 IoT 센서 인터페이스 표준 개발 □ 다양한 센서 타입을 분류하고, 이에 대한 데이터 명세 표준 및 센서 분류별 기본 동작 관련 표준 개발 - 스마트폰 IoT 파일럿 시스템 개발 □ IoT 표준 인터페이스 연동을 위한 모바일(Android) IoT 클라이언트 개발 □ IoT 표준 인터페이스 연동을 위한 파일럿 IoT 게이트웨이 및 센서 디바이스 개발 ◯ 스마트폰 IoT 게이트웨이 표준 확산을 위한 국내 및 국제 표준화 추진 - 국내단체표준(TTA): SPG12(사물인터넷 네트워킹 프로젝트그룹) 부의장 및 위원 역임을 통한 표준채택(5건: 스마트폰을 위한 LWM2M 아키텍처(TTAK.OT-06.0064), LWM2M 아키텍처(TTAE.OT-06.0065), 스마트폰의 LWM2M 자원 모델(TTAK.KO-06.0446), 스마트폰의 LWM2M 자원 모델을 활용한 유스케이스(TTAR-10.0072), LWM2M기반 스마트폰 게이트웨이를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및 자원 매핑 방식(TTAK.KO-10.1037) - 국제공적표준기구(ITU-T SG20): IoT 게이트웨이 공통 요구사항 및 수용능력 Y.4101/Y.2067 권고안(Q2/20) 표준제정 완료 및 IoT 게이트 웨이 공통 서비스 디스커버리 기술을 위한 기능적 요구사항 및 아키텍처 Y.IoT-sd-arch 권고안(Q3/20) 표준기고 개발 진행 - 국제사실표준기구(OCF): 삼성, LG, 인텔, 퀄컴 등 각국의 글로벌 메이저 기업이 멤버십인 국제 IoT 표준단체 OCF 활동을 통하여 OCF Tool-kit 디바이스 및 Modular Tool-kit 디바이스 표준기고 및 표준기술 개발 활동 진행. 삼성의 OSWG(Open Source Working Group) 및 ETRI와 협력하여 OSWG의 TG 활동을 추진 ◈ 추가 OCF 표준화 활동 □ OCF IoTivity 매뉴얼 용역(NIPA), OCF-K 포럼 활동을 통한 프레젠테이션, OCF IoTivity 교육, OCF IoTivity 및 LWM2M 표준교재 용역(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 IoT 국제전시회를 통한 OCF 시제품 홍보(한국사물인터넷협회 주관), OCF 기술을 적용한 반려동물 가전기기(자동급식기) 사업화 연계를 위한 MOU 체결 등의 추가적인 OCF 표준화 활동을 진행함 - 다자간 국제표준화 활동 지원 사업 진행을 위한 한국지식재산전략원 표준특허센터로부터 활동을 지원 받음 □ ITU-T SG20 Q2 Y.2067-R1 기고서 관련 표준 특허에 대한 관련 특허 조사 및 특허 대응을 위한 전략 지원을 받음 □ 2016년 4월부터 총 3회에 걸친 자문회의를 진행하였으며, 5월 및 7월회의 기고서 표준특허 현황 및 전략 대응에 대한 자문이 이루어 짐 □ IoT 게이트웨이 관련 특허 및 공통 게이트웨이 수용 능력 등에 대한 특허 동향 및 유사 국제 특허 보유 분석을 통해 향후 표준기고서 작성에 대한 대응 및 회피 전략을 연계 ◯ 스마트폰 IoT 게이트웨이 표준기술 상용화 추진 - 스마트폰 안드로이드 기반 IoT 게이트웨이 시제품 LiME IoT Family 제작을 통한 '16 & '17 IoT 국제전시회 참가와 더불어 사업화 서비스 연계 및 스마트홈, ITS, 민간기업 서비스 적용을 추진하고 있음. 2016년부터 LiME IoT 솔루션을 출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2017년 LiME IoT Family를 출시하였으며 국내 상표출원을 진행하였음 □ LiME IoT(스마트폰 게이트웨이 프로토타입): 시큐리티 서비스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OCF 표준을 활용하여 하나의 메인 센서 컨트롤러에 다종류의 센서를 장착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음. 멀티센서 3종(모션, 온습도, 조도), 센서 컨트롤러, 크래들을 제작함. 컨트롤러는 여러 가지 센서(모션, 온습도, 조도 등)를 제한 없이 연결하도록 해주며, 크래들은 센서 컨트롤러의 데이터를 송수신 및 스마트폰에 전원을 공급함. 센서 디바이스와 크래들 간 Wi-Fi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거치된 스마트폰은 데이터를 표출함 □ LiMERooT, LiMESeeD(IoT 센서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 OCF 국제표준 기술 기반 IoT용 센서를 측정하며, 데이터를 수집하는 IoT 타 가전과의 연동장치로써, 협력업체를 통한 핵심모듈 판매(지안, 컴덱스 등)를 추진 중에 있음. 더불어, ETRI와 OCF 기반 숙박공유 사업화 및 아이레보 디지털 도어락 사업화를 추진 중에 있음 □ LiME IoT Platform(IoT 플랫폼 및 응용 프로그램): LWM2M, OCF 등 국제 IoT 표준기술 기반 IoT 데이터를 수집, 관리하는 시스템 및 관련 응용서비스로써, 협력업체를 통한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80003939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