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개요 ∎ 최종연구목표: 차세대 분자계통연구를 기반으로 유전체 분석을 통해 Zoonotic Neglected Tropical Disease(zNTD, 인수공통감염소외열대질환)를 야기하는 주요 이생흡충아강 흡충의 분자계통진화모델을 통해서 학술적으로 해결되지 않은 분류체계를 재정립하고 기생숙주전환 및 감염장기전환 가설을 검증한다. ∎ 연구목표: 차세대 유전자 분석 및 미토콘드리아 게놈 기반 계통연구를 통하여 현재까지 계통유연관계가 해결되지 않고 있는 논제 중의 하나인 Opisthorchioidea상과 흡충 분류군에 대한 계통학 연구를 수행한다.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1차년도: Opisthorchioidea상과에 대한 대표 5 종을 선정하여 미토콘드리아 전체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한다. Whole Genome Sequencing을 통해서 계통 유연관계를 밝힐 수 있는 새로운 유전자 지역을 탐색한다. - 2차년도: 분석된 유전체 자료를 계통분석에 이용하여 zNTD 흡충 분류군의 계통분류 연구를 수행한다. 특히 편형동물 내 zNTD 이생흡충아강 흡충 종들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Opisthorchidae과 및 Heterophyidae과에 대하여 기존에 수행되었던 계통연구들은 소수의 형태형질들이 과도하게 강조됨으로써 야기되는 하위 분류군들의 분류체계오류를(Thaenkham et al., 2012) 재정립한다. - 3차년도: 재정립한 Opisthorchidae과 및 Heterophyidae과 분류군의 분자계통도를 형태 및 생태, 생리와 분자계통학적 결과에 모순이 없는 진화계통분류체계를 도출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편형동물 내에서 병리학적 병소부위가 되는 장내기생성 흡충의 진화방향을 추적한다. -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Opisthorchidae과 및 Heterophyidae과의 주요 분류군들의 계통유연관계를 확립하고 자매군인 Cryptogonimidae과를 추적하여 Opisthorchiida목 내에서 장 및 간 내 기생성 zNTD 이생흡충아강 흡충 분류군들의 기생숙주전환 및 감염장기전환 가설을 검증한다.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진화계통유전체학의 기초 자료: Opisthorchiidae과 및 Heterophyidae과를 포함한 Opisthorchiida목에 속하는 장내기생성 편형동물의 계통유연관계를 재조명하여 향후 해당 분류군에 대한 유전체 기능연구 및 계통유전체학(Phylogenomics) 발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 분류학적 측면: 미토콘드리아게놈을 이용한 새로운 분류조작단위 (operational taxonomic units, OTUs)를 제공하여 논란이 있는 계통분류학적 유연관계에 대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 역학적 측면: 인수공통감염성 기생충 모델을 바탕으로 한 숙주전환가설은 흡충의 숙주분포 및 생태지리학적 연구와 함께 분석함으로써 기생충질환의 병원성 전파 모델을 제공한다. ∎ 병리학적 측면: 장기친화성 가설이 검증이 된다면 장흡충과 간흡충의 비교유전체연구를 통해 병원성에 대한 새로운 병리학적 해석을 제공한다. ∎ 생태학적 측면: 기생충은 특성상 숙주의 서식처에 의존적으로 그 분포범위가 결정된다. 분자진화계통모델결과를 토대로 공통조상 흡충의 숙주분포 및 과거 생태지리학적 추론이 가능하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환경의 변화와 숙주의 이동 및 적응에 관련된 다차원적인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출처 : 요 약 문 3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