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한의학에서의 신(腎)은 생명의 기초물질인 정(精)을 주관하는 장기로서 신음허증 (腎陰虛證)은 신음이 허하거나 부족하여 생기는 병증으로 신음허증에 대한 현대 의학적 해석과 한의학적 치료를 통한 콩팥병의 치료 기술을 확립하고자 함. ○ 연구목표대비 연구결과 ▷ 문헌연구 - 한의학이론 및 서양 의학적 관련성에 대한 문헌적 연구를 수행함 - 신허증에 대한 문헌적 고찰 - 신음허에 대한 병리, 치법, 치방 정리 - 한의학적 병증과 양방 질병명과 연관성 확보 ▷ 세포 수준 연구 - 실험관내 연구 및 생체 내 연구를 통하여 한의학 이론을 증명함 - 메산지움 및 세뇨관 세포의 병리 모델 확립 - 세포 수준에서 신음허 치방 및 신귀경 약물의 약리학적 연구 - 방제학적 변화 (가감방)에 대한 연구 - 신음허 관련 병증 및 한의학 처방의 약리 작용 기전 확립 ▷ 병태동물모델을 통한 효능연구 - 신 실질적 병태 모델을 활용하여 ① 염증 (inflammation) ② 섬유화 (fibrosis) ③ 세포 증식 (proliferation) 억제 효능 등을 측정함 - 신음허증에 대한 병태 동물 확립 - 신부전, 당뇨병성 신증, 신증후군, 사구체 신염 등의 억제 효능을 측정함 - 병태 동물에서 신음허 치방 및 신귀경 약물의 효능 연구 - 가감방의 효능 변화 연구 ▷ 표준화 연구 - 약리 효능이 있는 본초 및 방제에 대하여 그 작용 기전을 관찰하고, 표준화 연구를 수행함 - 신음허 처방에 대한 유효성분 및 지표 성분 분리 - 유효성분 및 지표성분 표준화 기준 설정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학술적 필요성 - 한의학적 생리학 병리학 약리학 이론의 현대 의학적 해석 (EBM) - 전통 한약제제의 제조 및 분석 기술의 최적화 및 신규 개발 ▷ 의학적 필요성 - 대증적 치료제가 아닌 한의학을 활용한 콩팥병에 근원적 예방 및 치료기술개발 ▷ 경제적 필요성 - 경제사회적 수요가 큰 질환인 콩팥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기술개발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