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엘니뇨와 라니냐의 발생과 기상 및 기후변화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0-08-10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김영일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 개요 엘니뇨(El NiNo)는 동태평양의 해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현상을 말하며, 라니냐(La NiNa)는 반대로 동태평양의 해수 온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말한다[1]. 두 현상이 발생하면 세계 각지에서 홍수, 가뭄 등의 비정상적인 기상이변이 발생하여 막대한 재산 및 인명 피해를 주고 있다. 또한 엘니뇨와 라니냐의 발생빈도와 이들이 미치는 영역은 기후변화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엘니뇨, 라니냐 현상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와 이들 현상이 육상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정리하는 것은 세계 각지의 환경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엘니뇨와 라니냐는 1만 년 전부터 등장해서 지구에서 계속해서 일어났던 현상이지만 점차 이들의 영향이 강해지면서 20세기부터 주요 환경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엘리뇨는 보통 2~7년을 주기로 반복돼 나타나는 것으로, 20세기 후반인 1960년대에 바닷물의 온도가 크게 높아지는 이상기후가 나타나자 과학적으로 엘리뇨에 대해 주목하기 시작하였다[2]. 2018년 미국항공우주국 고다드 우주연구소에서 지구 평균기온 집계를 한 결과, 2018년은 기상관측 이래 가장 더운 해로 기록될 것이며 1800년대 후반 대비 지구 평균기온은 1.03도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특이한 점은 2018년에 라니냐가 일어났다는 것으로, 지구 기온 상승과의 연관성을 찾을 수 있다[3]. 이 보고서의 본문에서는 엘니뇨와 라니냐에 대한 기술과 엘니뇨/라니냐와 관계된 남방진동(ENSO, El NiNo Southern Oscillation)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졌다. 이후 본문에서는 엘니뇨/라니냐의 발생으로 인해 야기되는 환경문제와 엘니뇨/라니냐가 국내 및 동아시아 기상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엘니뇨/라니냐와 기후변화와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다루었다. ** 원문은 파일 다운받기를 해주세요 :-)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165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