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등숙기 고온에 따른 현미 품위변화 분석 및 적응 품종 선발 - 고온등숙 적응품종 : 조운, 조광, pecos, 영호진미, 수광 (현미품위감소 5%이하) ○ 등숙기 고온에 따른 벼 주요 교배모본중 조생종의 등숙특성 - 주요 벼 교배모본 중 조생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익산578,빈해수집, 수광이 현미완전립 및 현미폭변화가 적어 고온등숙 내성인 것으로 판단됨 ○ 벼 등숙기 평균기온에 따른 잠재등숙과 포장등숙 특성 - 등숙기 전 기간 일정한 기온 조건에서 완전미수량은 11품종에서 유의차가 없었고 7품종에서만 유의차를 보여, 잠재등숙성은 16℃까지 유지되었음 - 인공기상실에서 검토한 잠재등숙과 자연조건에서 검토한 포장등숙 반응의 차이는 등숙후기 기온의 저하 여부에 따라 나타난 것으로 평가됨 ○ 고온 조건에서 콩 품종별 수량성 평가 - 콩의 경우 수량을 결정짓는 부분이 영양생장의 정도보다는 기본 영양생장을 이루고 난 후 개화기를 거쳐 생성되는 꼬투리수와 100립중이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이번 연구를 통해 확인 ○ 봄 감자 주요 품종의 고온피해 발생 유형과 수확한계기 구명 - 중생 품종 고온기 수확 시 이차생장·중심갈변 급증: (6하)2.8 →(7상)11.1% ○ 씨감자의 생리적서령 조절로 봄 감자의 고온피해 경감(영농) - 싹틔우기 길게 하면 6월하순 수확 가능: (0-4주)32-39 → (6-11주)45톤/ha ○ 고온에 따른 추파밀의 면적당 이삭수 변화 및 수량 변화 - 생육재생기~수확기 평균온도 1℃상승 시 금강 면적당립수 약24개/㎡씩 감소함 - 생육재생기~수확기 평균온도 1℃상승 시 조중 면적당립수 약15개/㎡씩 감소함 - 금강은 생육재생기~수확기 평균온도 1℃상승 시 수량 약71kg/10a씩 감소함 - 조중은 온도조건에 따른 수량변화 없었음 (출처: 요약서 3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