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고안의 어초(A형, B형, C형)가 있기 전에는 대체로 어초에 대한 개념적 정의가 혼선을 갖게 하였다. 해양환경복원과 해양생명체들의 환경개선의 연구가 생물생태학적 연구가 아닌 해양공학적 논리를 적용시켜 연구되어 왔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해양생명체들의 원천인 조간대에서 수심20M지대가 무시되었고 생산성은 없으나 절대 안전지대인 펄(MUD)과 사질지대에 대체로 콘크리트를 이용한 어초시설이 99%에 이르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해양생명체들의 생성효과와는 무관한 어초시설방법론까지 법제화하여 생물체들의 생성효과와는 무관한 HA당 몇 기의 어초의 시설방식은 이해 할 수 없다. 근년에 들어 강제를 이용한 어초가 연구되고 있으나 해양생명체를 대상으로 한 지식과 이해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어초의 목적은 해양생명체들의 파괴된 원천지대를 복원하여 그들의 생식터전을 보완하는 것이다. 그것은 먹이의 확보, 은신 공간 그리고 번식(산란)공간인 것이다. 본 고안은 수중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을 배제한 최선의 노력을 다하여 본 고안을 제시한다. * 지주골간의 유격공간을 넓혀서 해류유통을 방해하지 아니하여 와류에 의한 탁류발생으로 인한 어초본체 또는 주변 암초지대와 해조류에 분진의 피해를 방지 한다. * 생명체들의 생태적 요구환경인 풍부한 먹이확보의 구조와, 생명유지의 근본인 은신(안식)처 재공과 번식우량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 구조물의 수명연장과 환경친화적인 자제를 이용 하였다. * 어초가 암초지대를 끼지 아니하고 펄(MUD) 또는 사질지대에 설치한다면 하중이나 파도, 그리고 조류의 영향으로 세굴·침하 하게 된다. * 어초란 궁극적으로 어류들의 생식환경을 개선하는 목적에 있으므로 본 고안은 해양의 복원과 개선이 어류생태에 절대적 요소들을 갖추기 위해 최선을 다하였다. * 해양생태의 복원을 해양생태 생물학적 차원에서 심도 있게 접근 하였다. 본 고안의 요지는 해양생명체들의 요구환경이 무엇인가에 다른 어초와의 차별성이 뚜렷한 것을 강조 하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