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고안은 액세서리를 제작함에 있어서 기존의 액세사리에서는 볼 수 없었던 후면(뒷면)을 활용하여 간단한 생활용어들을 인쇄하거나 인쇄해서 덧붓임으로 하여 간단한 용어들을 한국(각국에)에 관광온 사람들이 한국말(각국의 말)을 모르더라도 생활용어들을 쓸 수 있게 하려하는 것이다. 본 고안을 이루기 위해서는 액세서리의 후면(뒷면)에 공간(E)을 확보하고 영어로 '감사합니다.'Thank you. 'Gam sa ham ni da' '얼마입니까.'How much does this cost? 'Ul ma im ni kka?' '안녕하세요.'How do you do 'An nyung ha se yo' '도와주십시요' Please help me 'Do wa ju sip si o'등을 한국의 발음(각국의 발음)대로 한국의 어법(각국의 어법)으로 영어(세계각국의 언어)로 액세사리의 뒷면에 인쇄(B)하거나 투명한 물체(A)에 인쇄하여 덧붓임 함으로서 액세서리를 사는 사람은 한국말을 할 수 있도록 해서 간단한 생활용어들을 사용할 수 있게 하려하는 것이다. 본 고안을 이루기 위해서는 액세서리의 후면(뒷면)에 공간(E)을 확보하고 한국의 발음(각국의 발음)대로 한국의 어법(각국의 어법)으로 영어(각국의 언어)로 액세사리 캐스팅의 뒷면(E)에 인쇄하거나, 투명한 물체(A)에 인쇄(B)하여 덧붓임으로 하거나, 캐스팅의 본이되는 금형에 부식하거나, 부식(B)하여 덧붓임으로 하거나, 여타의 기법으로 볼록조각이나, 오목조각의 형태로 만들어 캐스팅의 본(금형)을 재작해서 캐스팅을 만들어 도금의 과정을 거치고, 앞면에는 계획대로 만들어진 것을 붇이고 후면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하면 사전 악세서리가 완성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