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주택병증후군이란 일반주택이나 개인 집의 집안으로부터 배출되는 각종화학물질(주로 포름알데히드나 VOC가 주원인)로 오염된 밀폐된 실내에서 장시간 생활할 경우 두통, 현기증, 안구건조, 후두염, 알레르기성 질환, 전신피로 등의 증세가 나타나는데 이를 주택병증후군(SHS; Sick House Syndrome)이라고 한다. 현대 도시인들은 하루 중 90% 이상을 건물 내에서 생활하고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쾌적하고 건강한 실내공기질의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빌딩, 지하 공간, 지하철, 각종 실내 업소, 학교, 병원 등 다양한 실내공간에서 하루의 대부분을 보내고 있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실내공기질관리를 적정하게 관리하고 보전하여 시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환경위해성의 예방과 저감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껴 환경부는 2004년 5월 30일부터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을 시행하고 있다. 주택병증후군을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으로는 실내 건축시 사용되는 목재건자재, 내장재의 제조에 사용되는 포르말린계 접착제와 벽지 및 내장재와 도료 등에 사용되는 각종 휘발성 유기 화합물 등이 가장 큰 주요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원발명은 이 중에서도 합판, 파티클보드, 중밀도섬유판등 목질재료 제조를 위하여 값이 싸고 강도가 좋아 가장 많이 사용되는 포름알데히드계 접착제 중에서 유리 포름알데히드 방산이 가장 높은 요소수지를 포름알데히드방산량 한국공업규격(KS F 3104, KS F 3200) E0(0.5mg/ℓ 이하)형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광촉매제인 이산화티탄(TiO2)을 수지 제조 중 첨가하거나 제조 된 E2형 및 E1형 요소수지(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에 따른 KS 규격 용어)에 첨가하여 유리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여 주택병증후군과 공기질관리를 위한 E0형 요소수지로 만들어 이 수지로 제조한 목질재료의 포름알데히드 방산량 등급이 E0형 등급이면서도 목질재료의 물리기계적 성질이 전혀 떨어지지 않도록 광촉매제인 이산화티탄(TiO2)를 첨가하여 E0형 요소수지로 만들어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