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발명은 지금까지 사용 후 쓰레기처리에 많은 문제가 되어 왔던 1회용 나무젓가락을 친환경적으로 개선하였다. 기존의 1회용 젓가락은 사용 후 무분별하게 쓰레기 처리하는 과정에 젓가락 돌출 부분이 서로 간 얼기설기 섞여서 일정공간을 차지하거나 일부는 쓰레기봉투 취급과정에 플라스틱 봉투에 구멍이 뚫리게 하여 그 구멍으로 부패 한 쓰레기 내 액체를 외부로 흘러나오게 된다. 이런 부패한 액체는 강한 악취뿐만 아니라 강한 독성을 발하게 된다. 그래서 이 나무젓가락의 크기를 줄이고 저 하는 노력이 많이 있어왔다. 이런 부응에 맞추어 기존에 사용해왔던 1회용 젓가락을 변형하여 두개 혹은 세 개의 젓가락 마디를 가진 접이 식 1회용 젓가락 고안하게 되었다. 전에 동일 접이 식 젓가락을 본 신청인외 1명과 1회용 접이 식 젓가락에 대하여 발명 특허 출원한 적 있었다. 그러나 실질 제품을 만들어 실용화 하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이 들어났다. 1) 젓가락이 완전히 접히질 않아서 아직도 쓰레기봉투의 구멍을 뚫었고 2)소재를 나무로 만들기 때문에 젖은 젓가락을 소각 쓰레기 처리 시 불완전 연소로 다이옥신 혹은 독극물 발생이 우려되었다. 3) 산림에서 목재를 만드는 과정에 부패 방지용 방부재 사용이 필수이므로 나무젓가락은 위생을 보장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젓가락의 접이 형태를 사용자가 짧은 젓가락을 요구 시에는 1단 접이 방식을 구성하고 간 젓가락이 필요할 때는 2단 접이 방식을 택하였다. 1단으 로 접혀질 때 종래의 나무젓가락 길이를 1/2로 줄이고 2단 접이인 경우 기존 젓가락 길이를 1/3로 줄일 수 있게 되었다. 또 젓가락이 완전히 접히도록 접힘 접촉부분을 일직선으로 하는 것에서 반원의 한점이 그리는 궤적선상 점을 따라 움직이도록 기구학적 원리를 적용하여 접힘을 완전히 하면서 접힘 기능을 부드럽게 하였다. 이렇게 접혀진 길이 축소 젓가락은 간단히 대부분 스낵용기 혹은 유사상품 용기에 내장 시킬 수 있다. 또 라면 젓가락으로 사용할 경우 라면봉지에 집어넣어 쓰레기처리 하는 과정에 쓰레기봉투에 구멍을 내는 일이 거의 없게 되었다. 또 사용소재를 기존의 나무에서 자연 분해 가능한 녹말가루를 접착제에 압착하여 만든 소재 혹은 전분 가루를 접착제로 합착하여 만든 소재를 사용하여 쓰레기처리 시 접어지게 되어서 쓰레기봉투에 구멍을 내지 않았고 친환경적 소재를 사용하므로 안전하게 자연 분해하므로 그동안 문제가 되어왔던 1회용 젓가락 환경문제에 해결책을 주어지게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