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특허/실용신안

제독 및 방부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과일 또는 채소보호대

특허 실용신안 개요

기관명, 출원인, 출원번호, 출원일자, 공개번호, 공개일자, 등록번호, 등록일자, 권리구분, 초록, 원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출원인 김경희
출원번호 20-2006-0032913
출원일자 2006-12-27
공개번호 20080708
공개일자 0000-00-00
등록번호
등록일자 0000-00-00
권리구분 KUUM
초록 본 고안은 수확이 끝난 과일 또는 채소를 안전하게 보관시켜 주는 과일 또는 채소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일 또는 채소에 묻어 있는 각종 유해성분을 흡착시켜 제거 및 감소시키고 지속적으로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공급시키며, 각종 유해물질을 배독, 흡착, 중화, 환원, 분해시키는 숯과, 650 여 종의 세균을 살균시키는 은나노의 기능을 첨가시켜 꼭지나 뿌리가 있는 과일 또는 채소를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제독 및 방부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과일 또는 채소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스티로폴의 원료인 폴리스틸렌 수지에 숯이나 은나노를 포함시켜 과일 또는 채소에 해충유입을 방지하고, 몰아내며, 수확시 상처를 입은 꼭지나 뿌리를 통하여 각종 부패균 등의 유입과 세척시 유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상처입은 꼭지나 뿌리에 지속적인 살균 및 제독기능의 소재로 뿌리나 꼭지보호대를 만들어 씌워서 부패를 방지하거나 부패를 늦출 수 있고 위생상 문제점이 없는 제독 및 방부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과일 또는 채소보호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현재 과일 표면에 생산지를 표시하는 방법으로는 수확 전에 광차단을 통해 과일 표피에 관련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되고, 레이져를 이용하여 음각 형태로 각인을 시키거나 표면을 변색시키거나 표면을 부풀리는 방법은 오히려 상품에 손상을 초래시키는 문젯점이 있었으며, 스 티커를 부착시키는 방법은 과일의 상처나 썩은 부분을 커버하기 위하여 부착된 것으로 오인할 수 있어서 오히려 불신감을 줄 수 있는 문젯점이 있었다. 기존의 과일 보호대는 운반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만을 제공할 뿐 이었다. 수확이 끝난 과일 또는 채소에 묻어 있는 각종 유해성분을 제거 및 감소시키고, 칼슘, 칼륨, PH 등의 유익성분은 흡착시키지 않으며, 외부에서 빛이나 열이 유입되어 온도가 상승해도 생명의 빛이라고 불리는 원적외선과 공기 속의 비타민이라고 불리는 음이온을 공급시켜 장기 보관이 가능하게 할 수 있고, 각종 유해성분을 제거시키고 살균시켜서 신선하게 장기 보관시킬 수 있는 기능이 전혀 없었다. 몇 년 전에 어느 전문가 분에게 들은 얘기인데 채소인 배추를 수확하기 위해서 배추뿌리를 칼로 자르는 순간에 배추의 온도가 2도 상승되고 그때부터 배추는 부패를 시작한다고 한다. 물론 식물의 보호본능으로 인하여 보내는 식물독이라고 할 수 있지만, 과일 또는 채소 등은 거의가 꼭지나 뿌리를 절단해야 만 수확을 할 수 있고 그때부터 부패가 진행되고 있는데 수확과 동시에 바로 부패를 방지하거나 늦출 수 있는 기능성 보호망이나 뿌리나 꼭지보호대를 사용하여 살균 및 제독을 시키면서 자연산화 및 부패를 방지해야 만 하는데도 전혀 그렇게 되지 못하고 있다. 공기가 전혀 통하지 않은 박스 안에 보온능력이 뛰어난 스티로폴 재질의 기존보호대를 이용하여 과일을 충격완화 목적으로 포장하는 것은 상승된 박스 안의 온도를 그대로 보관하고 있는 것과 같아서 수확시 부터서 부패가 서서히 진행되고 있는 과일에 부패를 더욱 더 촉진시킬 수 있는 문젯점을 안고 있었고, 외부에서 빛이나 열이 유입되어 내부온도가 더 상승되면은 부패는 더 빨리 진행될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현재 과일 보호대로 쓰이는 스티로폴은 폐기물로 소각처리되는 과정에서 악취 및 가스와 공해를 발생시키고 벤젠 등의 독성 �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KUUM&cn=KOR202006003291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IPC분류체계CODE,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IPC분류체계CODE A23B-007/00,A01G-013/04,A23B-007/14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