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발명은 버스를 타고 내리는 승강장에 관한 것으로, 상측에는 강화안전유리가 수평방향으로부터 2 ~ 5°의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며, 하측에는 차단막이 등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부착프레임에 결합수단으로 고정되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의 테두리를 감싸는 알루미늄 테로 구성된 부착용 등받이부와, 상기 부착용 등받이부와 이격되어 지표면에 독립적으로 구성되되, 표면이 석재마감 처리된 금속지지부와 상기 금속지지부의 상부에 용접되는 알루미늄프레임과 알루미늄프레임에 결합수단으로 고정되는 엉덩이받침으로 구성된 벤치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버스 승강장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버스 승강장을 이용하면, 우천시 빗물을 반대편 도로로 흘려 보낼 수 있도록 상부프레임에 구성된 강화안전유리를 2 ~ 5°로 경사지게 지니도록 구성함으로써 이용객에게 빗물에 의한 불편을 끼치지 않게 할 수 있고, 하절기에 사용자가 과도한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동절기에 적당량의 가시광선을 투과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기후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강화안전유리가 설치된 상부프레임의 하측으로 상기 상부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며 물푸레나무로 제작된 차단막을 구성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벤치를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지형의 높낮이에 관계없이 용이한 설치를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하는 벤치와 등받이 부위를 습기와 자외선에 강하고, 열전도율이 낮으며, 단열성이 우수한 물푸레나무로 제작함으로써 하절기나 동절기에도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버스 승강장에 마감처리된 목재에 의해 자연스러움이 강조되어 도시경관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