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특허/실용신안

유해성분 흡착 및 살균기능을 가지는 화분

특허 실용신안 개요

기관명, 출원인, 출원번호, 출원일자, 공개번호, 공개일자, 등록번호, 등록일자, 권리구분, 초록, 원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출원인 김경희
출원번호 10-2008-0028126
출원일자 2008-03-24
공개번호 20091005
공개일자 0000-00-00
등록번호
등록일자 0000-00-00
권리구분 KUPA
초록 본 발명은 유해성분 흡착 및 살균기능을 가지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인 꽃, 난, 나무, 분재, 묘목을 배양하는데 사용하는 화분 본체 및 엽체의 겉잎 안에 깊숙이 유입되어 있던 깍지벌레, 달팽이, 진딧물, 흰가루이,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응애, 재선충 등을 몰아내거나 살균시켜 주는 유해성분 흡착 및 살균기능을 가지며 물빠짐과 통기성이 좋은 화분에 관한 것이다. 화분 속의 각종 해충을 혐기성박테리아가 기피하는 숯, 은나노의 음이온과 원적외선의 작용으로 살균을 시켜 주거나 몰아내는 기능성 보관조 또는 제독볼을 투입시키거나 기능성 화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화분, 난분, 분재분, 토목 또는 육묘용 폿트화분, 꽃박스는 보관시키는 기능만을 제공할 뿐 이었다. 토양과 대기의 오염과 인간의 욕심으로 화분 내부에 유입된 중금속, 잔류농약, 항생제, 성장촉진제 등의 각종 유해성분을 제거 및 감소시키고, 칼슘, 칼륨, 마그네슘, PH 등의 유익성분은 흡착시키지 않으며, 외부에서 빛이나 열의 유입 및 급격한 온도변화에 의한 내부 온도의 상승 및 하강시에도 생명의 빛이라고 불리는 원적외선과 공기 속의 비타민이라고 불리는 음이온을 공급시켜 신선도 및 보온성을 유지하게 하고, 탈취기능과 습도조절기능을 가지며 2차 오염물질을 발생시키지 않고 유해성분 흡착 및 중화와 부패방지 기능은 전혀 없었다. 숯이나 은나노는 각종 유해성분을 흡착 및 중화시킬 수 있어서 자연산화 또 는 부패를 일으키는 매개체를 제거 및 감소시켜서 부패를 막거나 늦출 수 있다. 기존의 화분은 단순히 보관 기능만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화분으로 인하여 지금보다 더 미생물과 다양한 효소를 활성화시킨 뒤 이전시키는 기능이 전혀 없었다. 화분 본체와 보관조 또는 기능성 보관조와 제독볼이 일체형이 되는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가지고 화분 본체를 보호해주며, 뿌리에 음이온, 원적외선을 공급하여 유해물질을 흡착 및 중화시키고 살균시키는 제독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빠짐과 통기성이 좋다. 기존의 화분, 난분, 분재분, 묘목 또는 육묘용 폿트화분, 꽃박스 속에 보관조 또는 기능성 보관조를 삽입시키는 방법으로 기존의 화분을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숯의 놀라운 방부효과에 대한 실증자료로는 '약 2500년이나 된 마왕퇴 고분에서 발굴된 유체가 사후 4일 밖에 되지 않은 것처럼 보였다고 언론이 보도한 것만 보아도 숯의 방부 효과가 얼마나 컸는가 하는 것을 알 수 있고. 그 오랜 세월을 지나오면서도 미생물이나 곰팡이 등의 영향을 하나도 받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숯 덕분에 시신은 그 오랜 세월을 지나오면서도 미생물이나 곰팡이의 영향을 조금도 받지 않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 또 '합천 해인사의 팔만대장경은 오랜 세월이 흘러도 변함없이 보관되고 있는 것은 팔만대장경각의 지하에 잔뜩 묻은 숯이 건축물의 기초에 생기기 쉬운 습기를 조절하여 경각을 오랫동안 보전할 수 있었고, 숯의 습기조절 기능 뿐만 아니라 해충방지 기능도 잘 알고 있던 우리의 조상들은 석굴암도 이를 이용함으로써 석굴암 내부에는 해충이 없다고 실증되었으며' 숯의 놀라운 습도조절에 대한 실증자료로는 팔만대장경 경각에 보관되어 있던 경판을 문화재보호 차원에서 독일의 유명한 건축가가 설계한 현대식 시설로 옮겼더니 틀어지는 등의 변형이 일어나서 놀란 나머지 다시 제자리로 옮겼다는 것은 너무�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KUPA&cn=KOR102008002812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IPC분류체계CODE,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IPC분류체계CODE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