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특허/실용신안

장어통발어구

특허 실용신안 개요

기관명, 출원인, 출원번호, 출원일자, 공개번호, 공개일자, 등록번호, 등록일자, 권리구분, 초록, 원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출원인 정정호
출원번호 10-2001-0051603
출원일자 2001-08-25
공개번호 20080509
공개일자 2003-05-09
등록번호 10-0382789-0000
등록일자 2003-04-21
권리구분 KPTN
초록 본 발명은 기존 어업에 사용되고 있는 장어통발어구의 약점을 보완한 장어통발어구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특히 어구 속으로 진입한 장어가 탈출을 못하게 함은 물론 장어를 지속적으로 유인할 수 있도록 하고, 수중에 설치시 하나의 밧줄에 여러개를 연결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넓은 면적을 차지하지 않고도 많은 양의 장어통발어구를 설치하여 수확률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고, 각 장어통발어구마다 플로트 또는 추를 결합하여 수평형 설치 또는 수직형 설치, 또는 양자를 병행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수확이 높은 쪽으로 선택사용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어통발어구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각종 장어류를 수중에서 미끼로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는 장어통발어구(1)를 제공하되, 이는 밧줄(2)의 일단에 물닻(8)이 연결줄(5)과 회전연결구(4)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밧줄(2)의 상하로 각각 연결줄(5)과 회전연결구(4)에 의해 플로트(7)와 추(6)를 각각 설치하며, 상기 밧줄(2)에는 연결줄(5)과 회전연결구(4)에 의해 수개의 통발어구체(3)를 수평 또는 수직, 또는 수평과 수직을 병행하여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 연결설치하고, 상기 통발어구체(3)는 미끼통(49)이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싱(32)과, 상기 케이싱(32)에 나사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진입부(39)를 갖는 진입문(37)과, 상기 진입문(37)의 하부에 원터치식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창살문(41)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싱(32)의 하부에는 통발어구체(3)의 수평설치 및 수직설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플로트(61)와 추(63) 를 결합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어통발어구를 제공하여 한번 통발어구체(3) 속으로 들어 온 장어는 진입문(37)상에 설치된 창살문(41)과 다수개의 침(47a)에 의해 탈출을 아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포획된 장어에 상처를 입히지 않고 신선하게 살아 있는 상태로 미끼(입감)로 통발어구체(3) 내부로 유인, 포획하여 어획률과 부가 가치를 대폭 높일 수 있으며, 좁은 면적에도 많은 양의 통발어구체(3)를 설치하여 수확률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수중에 설치되어 타인의 배가 통행하여도 밧줄(2) 또는 통발어구체(3)가 손상을 입지 않고 타인의 뱃길을 막는 폐단도 일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장어통발어구(1)를 설치시 수평 또는 수직, 또는 혼합형 등 다양한 설치형태로 좁은 장소에서 최대의 수확률을 올릴 수 있으며, 미끼통(49)은 어류들이 입감을 먹어치우지 못하도록 냄새만 풍겨 입감의 역할을 장시간 동안 할 수 있어 뒤에 통발어구체(3)로 들어오는 장어류를 유인할 수 있어 입감재료의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장어통발어구(1)의 전체 구성부재를 분해 가능한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서 장어통발어구(1)의 이동 및 수확 후 철수 시에 통발어구체(3)를 다량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인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다단 적층하여 이송 및 적재할 수 있어 이송 및 보관에 따른 공간점유률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장어통발어구(1)의 특정 부위가 파손 또는 훼손되었을 시에 부분교체가 가능하여 경제적인 이점과 더불어 사후 관리에도 인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KPTN&cn=KOR102001005160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IPC분류체계CODE,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IPC분류체계CODE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