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특허/실용신안

직접 치환 방법을 통하여 구리 이온을 감지하는 아연 이핵체 화합물과 그의 제조방법

특허 실용신안 개요

기관명, 출원인, 출원번호, 출원일자, 공개번호, 공개일자, 등록번호, 등록일자, 권리구분, 초록, 원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출원번호 10-2010-0043143
출원일자 2010-05-07
공개번호 20111118
공개일자 2012-08-16
등록번호 10-1173169-0000
등록일자 2012-08-06
권리구분 KPTN
초록 본 발명은 수용액상에서 구리 이온을 선택적으로 감지하는 아미노산 쉬프 염기 아연 이핵체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용액 상태에서 생물학적 중요한 구리 이온을 선택적으로 감지하는 아미노산 쉬프 염기 아연 이핵체 화합물의 단단계 과정으로 합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라이신 쉬프 염기 리간드를 가지는 이핵체 아연 화합물의 합성에 있어서 라이신 리간드를 기본으로 하여 [Zn 2 ( r , s -lysH) 2 (μ-OAc) 2 ] (화합물 1),[Zn 2 ( s -lysH) 2 (NO 3 ) 2 ] (화합물 2) 및 [H 2 lys = 6-amino-2-{(2-hydroxybenzylidene)amino}hexanoic acid]를 in situ 방법으로 합성한다. 이 이핵체 아연 화합물은 L 또는 D/L-라이신 쉬프 염기 리간드를 이용하여 단단계 과정으로 합성되고, 이 화합물은 다양한 분광학적 기술 및 단결정 X-선 회절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 1과 화합물 2는 형광 특성을 가지며 수용액에 좋은 용해도를 가지므로, 이를 이용하여 생리학적으로 중요한 구리 이온을 중심 금속 직접 치환 방법으로 형광성 및 비색성을 이용하여 생리학적으로 안정한 pH에서 감지한다. 이들 화합물은 중심 금속 이온이 뒤틀어진 사각뿔 결합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또한 화합물의 결합 메카니즘 분석을 위하여, 화합물 2와 구리 이온을 이용하여 직접 합성 하였으며, 화합물 2와 구조는 비슷하고 중심 금속만 구리로 바뀐 화합물 3를 합성하였다. 이를 통하여 화합물 2와 구리 이온 간의 결합비가 1 : 2 임을 명백히 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KPTN&cn=KOR102010004314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IPC분류체계CODE,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IPC분류체계CODE C07F-003/06,C09K-011/06,G01N-031/22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