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특허/실용신안

키조개 탐사기

특허 실용신안 개요

기관명, 출원인, 출원번호, 출원일자, 공개번호, 공개일자, 등록번호, 등록일자, 권리구분, 초록, 원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출원인 사단법인부산지방발명인 기술연합회
출원번호 20-2000-0034642
출원일자 2000-12-11
공개번호 20080509
공개일자 2001-06-15
등록번호 20-0227248-0000
등록일자 2001-04-02
권리구분 KUMO
초록 본 고안은 해저의 뻘 흙 속에서 두부만 밖으로 내어놓고 서식하고 있는 키조개를 탐사하는데 주로 사용하는 키조개 탐사기에 관한 것이다. 해저에 서식하고 있는 키조개는 영양가가 매우 높은 고담백 수산물이고, 이의 수명은 약 6년이고 생태는 수심 10∼50m 범위의 해저 뻘 흙 속에 박혀서 서식하면서 약 3∼5cm 범위로 두부만 밖으로 내놓고 있는 것이므로 이를 해상에서 기계적으로 탐사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잠수부들이 잠수하여 수 작업으로 채취하고 있으나, 수심 30m 이상의 깊은 곳에는 수압 관계로 잠수 작업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막대한 자원이 폐 자원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탐사기 몸체를 썰매 형상으로 구성하여 이에 설치된 지지체의 일측에 다수의 강선침을 부착하여 선체의 견인에 의해 몸체가 해저에서 전진할 때 이 광선침이 해저면에 서식하고 있는 키조개와 접하면서 생긴 음파를 전기파로 변환시켜 선체 위에 설치된 스피커나 모니터에서 탐지할 수 있게 한 것이 공개실용 1998-14641호에서 공지된 바 있으나, 이는 몸체가 썰매 형식으로 되어 있어 해저에 산재하고 있는 어초나 폐 로우프 또는 폐 어망에 걸림되어 파손되는 결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강선침에서 전달하는 음파의 식별이 잘 안되어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바 있으나 이 경우는 전기 도선이 수압에 의해 누전되어 오동작이 생기는 등의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요지는 지지횡관(2)의 후측에는 와이어(11')를 개재한 다수의 무개추(11)가 연결되고, 지지횡관(2)의 상부에는 로우프(12')를 개재한 부구(12)가 연결되고, 앞측에는 선체(21)의 후미에 연결된 견인 와이어(13)가 체결되어 전기한 지지횡관(2)이 해저에서 일정 고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전기한 지지횡관(2)에는 다수의 탐사등(4)을 설치하되, 이 탐사등(4)의 공실(4') 내의 중심부에는 광섬유(9)와 연결된 수광통(5)이 설치되고, 수광통(5)의 주위에는 광섬유(9')와 연결된 다수의 발광통(7)이 설치되며, 전기한 광섬유(9)(9')가 장입 된 광케이블(10)의 상단에는 접속구(14)(14a) 및 송광램프(18)와 영상 변환기(19)를 개재한 권취 로울러(22) 및 모니터(20)를 설치하므로서 이를 키조개 탐사기로 사용하게 되면 지지횡관(2)은 다수의 무개추(11)와 부구(12)에 의해 해저에서 일정 고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이 지지횡관(2)에 설치된 탐사등(4) 내의 발광통(7)은 송광램프(18)를 통해 입사된 외부의 빛을 해저에 조명하고 전기한 수광통(5)은 해저의 조명된 모습을 수광 한 후 영상 변환기(19) 및 선실 내에 설치된 모니터(20)를 통해 해저의 모습을 탐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KUMO&cn=KOR202000003464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IPC분류체계CODE,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IPC분류체계CODE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