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내폭구조물이나 원자력발전소 등에 적용하는 두꺼운 철근콘크리트 벽체에 굵은 철근을 재래식으로 배근하려면 도 4, 도 5와 같이 철근을 구부리는 곡률반경이 크므로 구부린 수평철근과 직교하는 수직철근을 도면에 표시된 위치에 정확하게 배근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굵은 철근을 사용하는 경우, 부착내력 확보를 위한 겹이음은 정착길이가 대폭 증가하여 철근 사용량이 많아지고 그에 따라 벽체 두께를 더 키워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원자력발전소는 공사기간 단축이 총 사업비 절감과 직결된다. 그러므로 원자력발전소 현장의 경우, 철근이음은 용접성이 우수한 고강도의 굵은 철근을 시험으로 성능확인 후 겹이음(Lap Joint)대신 커플러 등 기계식 이음이나 용접이음 등을 적용한다. 물론 용접이음하는 경우, 철근용접에 대한 상세한 규정이 필요하다. 재래식 벽체 배근방법은 수직철근을 먼저 배근하고 거기에 의존하여 수평철근을 배근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도 1과 같이 벽체의 양단에 프레임 A(수직재 6개)를 공장에서 용접제작하여 현장조립하고, 프레임 B를 공장용접하여 현장 조립한 후 현장에서 나머지 철근을 조립한다. 프레임 A와 프레임 B는 시공 중 거푸집의 수직, 수평도 및 벽체의 두께를 확보하기 위한 거푸집 목공의 작업량을 경감시키고, 거푸집가새의 기능을 겸한다. 도 6은 두 벽체가 ㄱ형 또는 T형으로 만나는 경우의 배근 방법이며, T형일 때는 도1과 같은 방법으로 A, B 프레임을 활용한 배근이 가능하다. 그러나 ㄱ형일 때의 C 프레임은 수직재 7개가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