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물 무선망 구조의 자체 기상정보 송신기와 기상정보 수신 표시 방법 및 장치
기관명 | NDSL |
---|---|
출원인 | 김준규 |
출원번호 | 10-2009-0031564 |
출원일자 | 2009-04-11 |
공개번호 | 20101025 |
공개일자 | 2011-02-24 |
등록번호 | 10-1016557-0000 |
등록일자 | 2011-02-14 |
권리구분 | KPTN |
초록 | 최근 정부에서는 세계인류의 녹색선진국을 건설하기 위한 핵심추진10대 과제중 기후변화재해에 대해 적극 대응하기 위한 대책등 기상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과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실제적으로 실생활에서의 현지역에 실시간으로 기상을 국민이 접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는 않다. 생활 활동을 시작하기전에 외부기온을 알고 싶어 하는데 내가 위치한 현재의 기상을 쉽게 바로 인지할 수있다면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여러 행동을 할 것이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다소 제한적으로 독립된 방식으로는 있지만 전지역에 이러한 정보를 실시간에 전송해주고 이를 일반적으로 보편화된 장치로 수신을 할 수 있다면 기상변화에 바로 적응/대응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한 방법을 설계한 그물 무선구조망(Netted structure network)화된 현지기상 정보표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으로 자세히 말하면 일정 송신기능을 지닌 현지기상 송수신기(자가 송신 및수신 저장기능을 내장한 소형 백엽상)에서 송출하는 정보를 일정주파수로 송신하도록 여러 지역에 분포시켜두고 각 송신단은 상호 특정지역에서 보내어지는 것을 상호 저장하여 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시켜 나가고 모든 지역의 기상을 알수 있도록 표시해줄 수 있는 수신기로 전송 받아 주거지역과 같은 공용아파트 같은 곳에서 기상정보를 실시간 표시함으로 현재 위치한 기상정보인 현지 기상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 국가녹색성장에 기반적인 체계 구축이 되는 방법 및 장치가 될 것이다. 기상정보수집을 위한 독립전원 생성과 경제적 효율성과 저탄소의 효율을 위해 현지역의 기상을 수집하는 백엽상에 일정영역에서의 일정 주파수로 송수신기능을 추가한 백엽상을 전국적으로 분포시켜 두고, 각 백엽상 송수신단에서 발신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면 전국 어느 지역에서도 현지 실시간 기상정보와 계절별 지수를 알 수 있으며 이를 전파하는 다양한 유무선방법으로 실생활을 보다 윤택하게 할 것이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KPTN&cn=KOR1020090031564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IPC분류체계CODE | G01W-001/02,G01W-001/08,H04B-001/02,H04B-001/06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