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노면 결빙 예측 및 강설 감지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기상 상태와 노면 상태에 따라 노면 결빙을 예측하고 강설을 감지함으로써 융설 시스템을 제어하여, 겨울철 노면에서의 미끄럼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노면 결빙 예측 및 강설 감지 시스템은 데이터 획득부, 상태 판정부, 및 융설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한다. 데이터 획득부는 노면 표면 온도 데이터, 포장체 내부 온도 데이터, 대기 온도 데이터, 대기 습도 데이터, 및 노면 영상을 획득하고, 상태 판정부는 노면 영상으로부터 융설 지역의 기상 상태 판정과 더불어, 기상 상태, 노면 표면 온도 데이터, 포장체 내부 온도 데이터, 대기 온도 데이터, 및 대기 습도 데이터로부터 노면 상태를 판정하며, 융설 시스템 제어부는 상태 판정부로부터 기상 상태가 강설로 판정되거나, 노면 상태가 결빙 예상으로 판정되면, 각 상태에 따른 융설 신호를 생성하여 융설 시스템의 가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기상 상태 및 노면 상태의 관측과, 노면의 결빙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결빙 위험 및 강설시에 융설 시스템을 자동으로 가동시켜 강설, 노면 결빙으로 인한 사고 발생률을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고로 인한 인적, 물적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어, 강설과 결빙 위험시 겨울철 운전자의 안전과 국가 물류망의 기본인 도로의 원활한 소통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를 이용한 결빙 감지 센서와는 달리, 접촉/비접촉식 센서를 통합 이용하므로 차량 이동시에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결빙 위험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어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강설시, 결빙 위험 예측 시에 최적 융설 시기를 자동으로 판정하고, 강설강도와 1차, 2차 결빙위험에 따른 융설 강도를 제어하여 융설 시스템을 가동시킴으로써 융설 최적화를 이룩할 수 있으며, 융설 시스템으로 하여금 융설액을 적시적소에 적당량을 분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효율적이며 즉각적인 제설방법 적용으로 인해, 무절제한 제설제의 살포로 인한 환경오염 및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