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시간 수질측정 및 수질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수질정화제의 수질 정화 기능향상을 위한 기계적 시스템과 실시간 수질측정을 위한 전자 제어식 네트워크 실시간 감시망을 융합시킨 것으로, 특히, 수질오염원 긴급처리로 수질오염 악화와 확산을 근원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수, 하수, 폐수 등의 오염물질이 유입되면, 1차 수질감시장치에 의해 유입된 오염물질의 ph(수소이온지수, 폐하)와 탁도(turbidity, 濁度)를 측정하는 단계(S10); 1차 수질감시장치에 의해 오염물질의 ph와 탁도가 측정되는 측정된 데이터값을 비교하는 단계(S12); 단계(S12)에서 유입된 물의 오염유무가 확인되면, 수질정화시스템의 작동유무가 결정되는 바, 먼저, 유입된 오염물질이 정상적인 물로 판단되면, 측정된 데이터값을 별도로 데이터화하여 기록하는 단계(S14); 유입된 물질의 오염물질로 판단되면, 2차 수질측정이 이루어지는 단계(S16); 유입된 물질이 오염물질로 규정되면, 2차 수질측정이 이루어지게 되며, 질소, 인, 암모니아, 염도 등의 오염원에 색상반응하는 리트머스 종이에 의한 측정 이 이루어지는 단계(S20); 리트머스 종이에 의한 색상반응에 따른 색상변화는 색상식별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고, 촬영된 색상변화에 의해 오염정도를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화 되어 비교 분석하는 단계(S22); 상기 단계(S22)에 의해 오염물질의 색상변화에 따른 데이터가 비교 분석되면, 비교 분석된 데이터를 영상과 함께 무선통신(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으로 수질오염 상황을 전송하는 단계(S24)와; 단계(S24)에서는 수질오염 데이터 및 경보를 전송함과 동시에,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한 수질정화시스템의 작동부를 구동시키는 단계(S26); 단계(S26)에서 작동부의 구동신호가 인가되면, 다수개의 격실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수질정화를 위한 바이오토가 내장된 수질정화체가 하강되는 단계(S28)로 구성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