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발명은 우리나라 유일한 쇠고기 생산 자원이면서 토종가축인 한우의 육질개량에 관여하는 유전자 마커 개발에 관한 것으로서, 한우의 육질과 품질을 결정하는 근내지방도(MARBLING SCORE)와 등지방두께(BACKFAT THICKNESS) 등 도체 및 육질관련 형질을 조기에 진단하여 선발하는 DNA 표지인자를 개발하여 한우의 육종개량 사업 및 고품질 한우고기 생산에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 동물의 불포화지방산 생합성의 핵심 효소로 알려져 있는 STEAROYL-COA DESATURASE(SCD) 유전자의 특정한 단일염기다형(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이 한우의 도체 및 육질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SCD 유전자의 인트론(INTRON) 6번과 엑손(EXON) 6번, 그리고 인트론(INTRON) 7번 영역을 포함하는 유전자를 클로닝하고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유전자 구조를 해석한 결과 각각 인트론 6번 영역에서 2개, 그리고 인트론 7번 영역에서 2개의 단일염기다형(SNP) 부위를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들 가운데 인트론 7번 영역에서 발견된 특정 SNP 마커가 한우의 도체 및 육질형질들과 유의적인 연관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본 발명에서 입증되었다.즉, 한우 SCD 유전자 인트론 7번의 특정영역을 포함하는 총 211BP 크기의 염기서열에서 아데닌(A)↔구아닌(G) 염기치환으로 발생한 단일염기다형(SNP) 부위를 발견하였다. 이들 단일염기다형 염기서열 부위를 PCR-SSCP(SINGLE-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단일쇄 형태구조다형성) 기법을 이용하여 3종류의 SNP 유전자형(A/A, A/G 및 G/G)을 검출하였다. 이 가운데 A/G 유전자형이 한우의 근내지방도와 등지방두께와 고도의 유의적 연관성이 있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였다.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개발된 한우 SCD 유전자의 특정한 단일 염기다형 표지인자는 종래의 표현형 육종가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선발하는 전통적인 선발 방법에 비하여 첨단 분자육종기술로서 한우의 연령 및 성별에 관계없이 육질이 우수한 고급육을 생산하는 우량 한우의 조기선발에 매우 유용한 DNA 표지인자 선발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