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특허/실용신안

하수슬러지를 활용한 토지개량제 제조방법

특허 실용신안 개요

기관명, 출원인, 출원번호, 출원일자, 공개번호, 공개일자, 등록번호, 등록일자, 권리구분, 초록, 원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출원인 ,
출원번호 10-2011-0023399
출원일자 2011-03-16
공개번호 20120928
공개일자 2013-02-26
등록번호 10-1236862-0000
등록일자 2013-02-19
권리구분 KPTN
초록 본 발명은 하수슬러지를 활용한 토지개량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부산물과 매립 및 해양투기로 버려지는 하수슬러지를 활용하여 매립시설내 복토재 및 기반성토재로 활용할 수 있는 토지개량제를 제조함으로써, 폐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하수슬러지를 활용한 토지개량제 제조방법에 의하면; 열병합발전소중 가압유동층 연소기술을 사용하여 노내압력이 6-15기압정도이며 연소온도가800-1200℃로, 층물질(모래, 회재)이 충진된 연소로에 석탄을 공급하고 분산판을 통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연소되는 방식으로 연소로에 탈황제(석회석)를 직접 주입하여 연소중 탈황을 하며 연료를 연소시켜 열병합발전을 위하여 열을 사용하고 연소가 종료되고 남은 잔여물인 CaO 함량이 55~65중량%인 석탄회(10)와 제지슬러지 연소 후 발생되는 CaO 함량이 40~45중량%인 제지연소재(20)를 일정 중량부로 혼합하여 고형제(30)를 제조하는 1차 혼합단계(S1)와; 규사의 분쇄공정에서 발생되는 300~500MESH의 규사미분(40)과 황산농도 85~90%인 희황산(50)과 탄산칼슘마그네슘[CaMg(CO3)2]로 구성된 돌로마이트(60)를 일정 중량부로 혼합하여 pH 조절제(70)를 제조하는 2차 혼합단계(S2)와; 함수율75~85%의 하수슬러지(80)에 상기 1차 혼합단계(S1)에서 제조된 고형제(30)와 상기 2차 혼합단계(S2)에서 제조된 pH 조절제(70)를 일정 중량부로 혼합하여 하수슬러지의 수분과 반응시키는 반응단계(S3)와; 상기 반응단계(S3)를 거친 혼합물의 반응열 및 수증기를 제거 시켜, 흙과 동일한 형태의 토지개량제(90)를 제조하는 양생단계(S4)로 구성되며, 이렇게 제조된 토지개량제(80)는 pH 및 암모니아가스가 안정화되어, 토사와 혼합하여 매립시설내 복토재 또는 기반성토재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기존 하수슬러지(80)의 처리방법은 하수슬러지에생석회, 경소백운석, 연소재로 구성된 고화제를 혼합하여, 고화처리를 하고 있으나, 고화처리물은 고화제의 강알칼리성 특성에 의해 pH가 12.5이상으로 지정폐기물(주변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유해한 물질로서 환경부장관이 지정·고시하는 물질을 함유한 폐기물질)에 가깝고, 또한 고화처리물은 pH상승에 따른 다량의 암모니아 가스가 발생되어, 현재 민원에 의해 복토재 및 토지개량제로 활용을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또한 기존 고화제의 주성분인 생석회와 경소백운석은 좁은 국토에서 자연을 훼손하여 채취한 광물을 고온의 열원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제품으로, 원료 채취시 1차적인 환경훼손을 유발하며, 제품 제조시 다량의 CO2를 발생하여 2차적인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현재 구제역의 장기화에 따라 많은 량이 매립시에 사용되어 물량부족현상으로 인하여 가격이 두 배 이상 상승되었고, 그 마저 물량부족에 따라 업체마다 물량구입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인 CaO 함량인 55~65중량%인 석탄회(10)와 CaO 함량이 40~45중량%인 제지연소재(20)로 구성된 고형제(30)와 pH 저감 및 암모니아 가스 발생을 억제 시킬 수 있는 pH 조절제(70)를 이용하여 하수슬러지(80)를 pH 및 암모니아가스가 안정화된 토지개량제(90)로 제조함으로써, 민원 발생 없이 매립시설내 복토재 및 기반성토재로 최대한 활용할 수 있고, 아울러 사업장에서 발생된 부산물로 부족한 자원을 대체함으로써, 자원채취 및 자원가공에 따른 2차적인 환경훼�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KPTN&cn=KOR102011002339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IPC분류체계CODE,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IPC분류체계CODE C09K-017/06,C09K-103/00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