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특허/실용신안

한지성형체가 내장된 기능성 티백제품 및 그 제조방법.

특허 실용신안 개요

기관명, 출원인, 출원번호, 출원일자, 공개번호, 공개일자, 등록번호, 등록일자, 권리구분, 초록, 원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출원인 김경희
출원번호 10-2012-0033982
출원일자 2012-03-30
공개번호 20131011
공개일자 2013-11-27
등록번호 10-1332719-0000
등록일자 2013-11-19
권리구분 KPTN
초록 본 발명은 한지성형체가 내장된 기능성 티백제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 조리시 발생하는 지방 등의 유해성분을 흡착시켜 주는 한지성형체가 내장된 기능성 티백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현재는 백탄 숯, 비장탄 숯을 조각성형 시킨 기능성 클린부재가 티백 속에 넣어 제작되고 있으나, 상기 제품은 제작비용도 비싸고, 소재 구입도 쉽지 않으며, 목재의 재생산 기간이 너무 많이 소요되어 자연재해 및 환경 문제가 예상되고, 고가의 조각기나 성형기에 의해서 제작해야 되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또, 숯가루를 합성수지에 혼합시킨 기능성 클린부재가 티백 속에 넣어 제작되고 있으나, 백탄, 비장탄 숯으로 제작한 기능성 클린부재 보다는 저렴하다고는 하지만, 현재 저가에 판매되는 라면이나 커피 등에 적용하기에는 그래도 비싸며, 소비자들도 합성수지가 첨가된 것보다는 보다 더 친환경적인 제품을 원하고 있다. 흡착 기능이 있는 한지를 상기 2종의 기능성 클린부재 대신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작비용도 훨씬 저렴하고 소재구입도 쉬우며, 한지를 구성하는 닥나무 등이 쉽게 반복 생산이 가능한 저탄소 친환경소재일 뿐 아니라, 폐기처분시에도 생분해성 물질을 혼합하지 않아도 자연분해 되는 잇점은 있으나, 한지는 다공성 종이이므로 물과 접촉하면 쉽게 수분을 흡착시켜 무거워져서 바닥에 가라앉아 버리므로 라면이나 컵라면 등과 같은 가공식품을 조리시 위로 발생하는 지방, 산화기름 등의 부유물질을 직접 접촉하면서 계속 흡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현재, 숯과 합성수지를 혼합하여 제작한 기능성 클린부재를 티백망에 넣어서 라면 등의 기름을 흡착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200도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요리할 때는 기능성 클린부재에 혼합된 합성수지가 녹거나 숯가루가 타버리고 가격도 고가인 문제점도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과 같이 튀김 식품 등을 제조해낸 다음 식품에 잔류하는 기름 등을 흡착시켜 주는 것이 아니고, 가공식품이나 식품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방, 산화된 기름, 식품첨가물 등의 유해성분과 잡냄새를 미리 흡착시켜 식품 속에 혼합되는 것을 미리 방지하며, 높은 온도에서 요리할 때도 사용이 가능하고, 폐기처분시 생분해 될 수 있는 기능성 티백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한지는 두껍고 질기고, 공기 투과성이 좋아 환기도 잘 되며, 보온성이 뛰어나고, 화공약품성분이 없어 식품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여러 겹으로 배접 하므로 견고하고 단단하고, 가볍고 운반이 용이하다. 반복 생산 기간이 짧은 저탄소 친환경소재이며, 한지의 비중은 0.8 수준으로, 비중이 1.54인 일반 면사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고, 가볍기로 유명한 폴리프로필렌(0.9)보다도 더 가벼우며, 병원에서도 환자들의 치료용 거즈로 사용하고 있을 만큼 안전하고, 흡수성이 좋으며, 잡냄새를 흡착시켜 주는 것은 물론이고, 폐기처분 때도 생분해되는 친환경 소재이다. '숯이 가지고 있는 미세구멍의 단면적은 숯 1g에 약 400∼1800 평방미터가 되며, 숯가루는 체내에서 암을 유발시키는 요인인 메칠크린시린과 벤조피렌, 트리 할로메탄 등과 중금속, 잔류농약, 방부제, 항생제, 착색제, 성장촉진제, 연화제, 식품첨가물 등의 유독성분 만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복용 후 1분 이내에 최대로 산속하게 체내의 불순물들을 흡수하며, 인체에 이로운 체내의 영양소들을 흡수하지 않는 것이 발견되었다.'고 밝혀진 숯의 천연�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KPTN&cn=KOR102012003398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IPC분류체계CODE,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IPC분류체계CODE B65B-029/02,A23L-001/015,B65D-085/808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