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특허/실용신안

오·폐수 처리용 고효율 순환제어 산화환원조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특허 실용신안 개요

기관명, 출원인, 출원번호, 출원일자, 공개번호, 공개일자, 등록번호, 등록일자, 권리구분, 초록, 원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출원인 김창환
출원번호 10-2009-0116740
출원일자 2009-11-30
공개번호 20100421
공개일자 2010-04-13
등록번호 10-0953075-0000
등록일자 2010-04-07
권리구분 KPTN
초록 본 발명은 활성오니 미생물의 기초대사 과정인 산화와 환원의 기본원리를 폐수처리에 적용한 고효율 순환제어산화환원조이며, 첫째 유기성폐수/오폐수처리시설의 폐수처리시 종균접촉여재메디아 적용과 순환제어법과 산화조 및 환원조등의 다양한 기능성조를 구성하여 처리효율을 높이는 방식으로 부하변동에도 안정적인 수질정화처리법과, 둘째 수온이 높은 폐수처리장의 고비용 저효율시설이었던 냉동기 등의 냉각방식을 탈피하여 생물반응조의 미생물혼합액을 종균접촉여재메디아층을 통과하는 직접 쿨링방식으로 온도저감하여 적정 미생물 폭기조온도를 대기온도까지 낮추어 조절하는 직접냉각기능과, 셋째 전처리된 가축분뇨를 유입산화시켜 액비제조시설로 사용할 수 있다. 생활오수, 유기성폐수와 산업생산에서 유발된 다양한 원폐수를 전처리 물리적 스크린등의 과정 후, 순환제어산환환원조의 활성오니 종균접촉여재메디아층을 통과시키면서 종균이 용출되면서 폐수처리에 유용한 종균을 부여하고, 여재표면에 형성된 바이오필름에서 임의, 호기, 혐기성 균주를 통한 미생물 흡착분해 대사과정을 이루고, 산화환원조내 미생물량을 증가시켜 수질 처리효율을 상승시키며, 폐수처리시설내 적정 미생물대사에 필요한 생물반응조의 순환미생물 직접냉각제어에 의한 생물반응조의 온도조절기능과, 종균접촉여재메디아층을 하향류로 낙하하면서 다단으로 잘게 부서지면서 수증기를 증발시킬 때 용해되어 있던 난분해성 물질인 휘발성물질과 악취물질이 휘산되는 과정을 거치므로 얻어지는 수질개선효과와, 연계 된 탈취기가 있을 때에 상부팬이나 송풍기로 탈취기에 연계하여 탈취하므로 악취를 제거하는 것과, 메디아층을 낙하하며 잘게 부서진 폐수입자는 산화조에 떨어지면서 자체 소포효과를 통해 산화조 상부에 형성되는 거품을 제거하므로 부유미생물의소포로 미생물 대사효율을 높이는 것과 기존의 스컴제거펌프나 소포펌프 그리고 소포제를 투여하던 시설이 없이도 완벽히 소포하면서 수처리가 가능하며, 공기공급장치인 블로워를 DO(용존산소)계측기와 연계하여 공기공급량을 증감조절하여 유입부하에 맞추어 수처리 기능성을 높인 것과, 순환펌프의 순환량을 유입량(Q, 유량계)과 DO에 따라서 증감조절 가동 하도록 하여, 유입 부하변동 조건변화에 적정 미생물대사효율로 조절 운전케함으로써 최적의 온도유지 및 대사조건을 유지시켜 처리할 수 있어 기존시설들보다 적은 설비용량으로 안정적 폐수처리시설을 유지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종균메디아여재접촉층과 산화조의 증감폭기를 통한 유기물의 우수한 제거효율을 얻을 뿐만 아니라 2단계 환원조를 통하여 부영양화의 주요 인자인 질소 인등을 동시에 고효율로 처리 가능하며, 유입원수에 동화되어 생장한 바이오필름과 종균접촉메디아를 미생물의 활성을 이루고, 조류번식에 의한 사상성 벌킹제어가 용이하다. 특히 유입부하변동이 많은 소규모 오폐수처리장의 경우에는 그 공정이단순하고도 효율적이므로 유입부하가 최소인 경우 순환펌프만으로도 처리되고, 유입부하량이 증가되는 경우에는 순환량과 DO공급이 자동화(DO,PH,유량계,ORP,온도)기기로 조절하도록 제어되어 누구나 쉽게 오폐수처리장치의 운전을 통하여 안정적 수질 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생물막여과조를 통하여 환원조에서 분리된 상등수 즉 처리수를 다시 한번 생물막필터로 여과하므로, 유출수의 SS를 제거하여 양질의 �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KPTN&cn=KOR102009011674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IPC분류체계CODE,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IPC분류체계CODE C02F-003/06,C02F-003/30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