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고안은 강재 및 콘크리트, 철근로프, PP로프, 해조류(우렁쉥이 등) 종묘 포자로프 등을 이용한 침하(쇄굴)방지식 다목적 해중림 인공어초(100)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어초의 정형화된 사각의 틀 안에서 해중림의 안정적인 성장 및 서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H형강(101)을 4변(가장자리)으로 하는 정사각형의 모양과 각 모서리(모가 진 가장자리)에 콘크리트 구조물(102)을 접합 시킴으로써 무게 중심을 모서리로 분산시켜 안정성을 도모하였으며, 콘크리트 상부에 H형강을 이용한 철구조물(103)을 세우고, 각 모서리 지점과 대각선으로 교차하는 모서리 지점에 철근로프(106)를 연결함으로써 안정성을 더욱 공고히 하였고, 4변의 철근로프(106)와 철근로프(106) 간에 PP로프(107)를 연결하여 3단의 입체적인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단으로 이루어진 철근로프(106)와 PP로프(107)의 입체적인 구조가 어류를 군집시키는 인공어초의 역할 뿐 만 아니라, 해조류의 착생이 용이한 PP로프(107)라는 특성화된 재료 사용으로 원활한 해중림 조성을 통해 다양하고 지속적인 해양수산자원을 조성하고 보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인공어초 투하 후(시간 경과 후) '해조류 서식공간 잠식생물' (해면동물, 홍합, 말미잘 등)의 점령과 로프의 유격으로 인공어초의 기능이 저하 될 경우 철근로프 연결고리(204)를 이용하여 철근로프(106)와 PP로프(107)의 교체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지속적인 사후관리가 가능하게 하였으며, 해조류의 서식환경이 좋지 않은 시기에는 PP로프(107)에 인공생산이 가능한 해조류 종묘 포자로프(108)를 감음으로써 단년생 해조류인 미역, 다시마와 다년생 해조류인 대황, 감태, 곰피 등의 해조류가 지속적으로 서식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인공어초(100)에서는 기존의 해중림초 및 인공어초에서 발생하는 침하(쇄굴)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닻과 낚시바늘 비늘모양의 구조(아래 낚시바늘 비늘모양(201)-외부의 힘에 의한 움직임 방지, 윗 낚시바늘 비늘모양(202)-쇄굴에 의한 침하 방지)를 응용한 침하(쇄굴)방지시설(104)을 갖춤으로써 해저의 여러 지질(사질, 사니질, 니질)과 수심에 관계없이 안정감 있게 고정 침하되어 시설물의 유실과 이탈을 막을 수 있으며, 해양생태계에 있어 주요 기초가 되며 인간이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하고 유용한 저서형 수산생물(개불 등 환형동물, 새우·게 등 갑각류, 문어·조개·소라 등 연체동물, 해삼 등 극피동물, 우렁쉥이 등 원색동물, 가오리·뱀장어·성대·가자미 등의 저서 어류)들의 서식환경 및 산란장 조성을 위하여 인공어초(100) 하단부에 저서형 수산생물(어류 등) 이동통로(105)와 사석(109) 및 철파이프(205) 등 다양한 기능시설을 설치함으로써 저서형 해양수산자원을 보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