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농판의 사용 방법은 8 진법에 의해 구분되어진 구역과 한판 및 각판 그리고 소판에 대한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에 표시되어 진 숫자에 의해서 그 역할과 임무 그리고 사용 방법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고안되어, 농판이 설치가 되면 사람들이 그에 해당하는 자기의 생년. 생월. 생일. 생시의 축약 숫자로서 이루어져 만들어 지는 천 단위의 네 자리 숫자에 의해 대응되어, 천 단위의 네 자리 숫자로 구성되어 진 소판에 의해 영농 활동을 함으로서, 자신 만의 터를 소판을 통해 간직하게 할 수 있는 운영 체게를 고안하여 발명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서, 농판에 가면 내가 움켜질 흙이 있고, 내가 사용할 수 있는 나만의 농지 소판이 있고, 내가 언제나 할동 할 수 있는 영농의 자리가 준비되어 있으며, 내 몸이 쉴 수 있는 자리가 준비가 되어 있고, 언제나 나의 이웃을 만날 수 있는 자리에서 우리를 만들어 가는 공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소판의 천단위 4 자리 숫자에 의해서 농판의 사용 자리가 정해지며, 생시의 축약 숫자는 소판을 나타내며, 생일의 축약 숫자는 각판을 나타내며, 생월의 축약 숫자는 한판을 나타내며, 생년의 축약 숫자는 구역을 나타낸다. 이에 대한 농판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의 의사 행동 결정은 자연스럽게 유사한 사람들이 모여 활동하게 함으로서 영농의 재미를 발견하고, 놀이 문화를 영농과 함께 창조하여, 농판 운영자. 농판 사용자. 농판 회원 및 농판 구경꾼과 관광객의 자리를 정함으로서 모두가 하나가 되어 참여할 수 있는 놀이 판으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며, 도시 생활에서 잠시 벗어나 농촌의 생활을 즐김에 있어서 영농과 함께 체험함으로서 휴식 문화 및 운동 문화를 정착시키고, 새로운 이웃을 만들어 가는 장소를 제공함으로서, 우리의 문화를 활용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본 농판의 사용 방법을 고안하여 발명하게 되었다. 나아가, 농판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농판에 있는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하며, 그 어떠한 한 사람도 농판에서 활동할 수가 있는 운영 체계에 의해서 운영이 되어야 하며, 최후의 마지막 한 사람의 영농 활동을 기술 및 지원하기 위하여 조판 2 개가 설치되었음을 밝혀두면서 농판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고안하여 발명하였다. 그러므로, 농판을 운영하는 사람들은 소판의 사용자로서 그 역할과 임무를 다함으로서 농판의 사용 방법은 완성된다고 하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