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발명은 공업용 세정제에 대하여 세정 성능과 환경문제에 적극적인 관심이 요구되고 있는 중에 기계, 섬유, 제지, 철강, 드라이클리닝, 자동차 부품 및 반도체와 금속공업등 각 산업체에서는 환경관리의 국제규격 「ISO14000시리즈」의 인정취득이나 작업환경을 배려한 제품을 우선적으로 구입하는 「크린 조달」 및 PRTR(환경오염물질배출. 이동등록)를 도입을 향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세정분야에 있어서도 특정 후론이나 1,1,1-트리 크로로에탄은 이미 사용금지가 되어 있고 다른 염소계용제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메틸클로리드)와 원가 절가용 첨가제로 사용하는 유기용제의 키실렌, 메틸알코올등은 인체의 건강을 해치는 유해물질 및 가연성 인화물질이며 대기오염 방지법에 의해 유독물질, 제한물질 및 환경규제물질로 규정하고 발암성 원인물질로도 판명됨에 따라 사용에 제한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오존층 파괴물질의 CFC-113(후론)이나 1.1.1.-트리클로로에탄(에탄)의 사용이 금지되고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등의 염소계 용제도 ISO-14000의 발효와 개정 및 대기오염 방지법의 실행에 따라 사용하기 어렵게 되어 각 산업계에서는 자주적 「탈염소형 대체세정제」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현재 주류를 이루는 세정제는 계면활성제 세정제에 알코올류와 가소제 및 저급 올레핀유등을 약간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세정성능과 환경을 배려한 세정제라고는 주장하고 있으나 성능과 효과가 목적달성이 어려워 성능 및 효과가 우수한 탄화수소를 단독으로 이용하려는 대체 세정제 개발에 주력하려는 현실이며 이것의 물성은 가연성 위험물과 취급제한 물질로 분류되는 종류가 많아 사용과 개발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탄화수소란 이름처럼 탄소와 수소만으로 이루어진 완전한 화합물이며 메탄과 에탄 및 천연가스와 같은 기체분자의 탄화수소와 나프탈렌 같은 고체분자의 탄화수소 및 데칸, 벤젠 동족체의 액체분자 탄화수소로 다양한 형상으로 존재하는 물질로 되어 있고 탄화물의 분류는 원형, 공유성, 침입형으로 분류 되는바 복합 탄화수소는 원유를 증유 정제한 것만 아니라 고도의 정제 처리를 한 것 내지는 화합합성한 것과 혼합된 것 등이 그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액체 탄화수소는 그 구조에서 노르말파라핀계, 이소파라핀계, 나프텐계 , 방향족계의 4종류로 분류된다. 특성으로는 금속에 대한 부식성이 없고 가격이 비교적 싸며 경제적이고 탈지력과 오염물 제거 및 세정력의 성능이 우수한 효능을 들 수 있지만 물에는 잘 녹지 않아 수용성으로 사용이 불가능하며 에테르등의 유기용매에는 잘 녹는 성질이 있다. 원유 베이스를 고도로 정제해서 만들어 지고 있는 탄화수소는 그 소성에서 프레스유, 절삭유 등의 가공유와 매우 상용성이 좋고, 이러한 광유계의 오염에 대한 세정능력은 종래의 1,1,1-트리클로로에탄과 비교해도 동등이상의 성능을 지니고 있다. 이 때문에 금속가공 세정용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나, 염색가공, 및 제지 초지공정의 Wire, Felt의 오염물이 백수, 샤워수와 함께 수용성화 된 오염처럼 세정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오염에 관해서는 물리적 세정기의 힘을 빌리거나 다른 계면제제를 첨가한 유기 용제형 세정제, 계면활성제형 세정제, 산, 알카리형 세정제를 사용하는 등으로 대체되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세정력을 높이기 위해 계면제제를 첨가한 유기 용제형 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