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특허/실용신안

중소제조기업을 위한 스마트폰, 에이에스피기반의 보급형 에너지관리시스템

특허 실용신안 개요

기관명, 출원인, 출원번호, 출원일자, 공개번호, 공개일자, 등록번호, 등록일자, 권리구분, 초록, 원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출원인 ,
출원번호 10-2011-0134109
출원일자 2011-12-14
공개번호 20130726
공개일자 0000-00-00
등록번호
등록일자 0000-00-00
권리구분 KUPA
초록 [0001] 본 발명은 에너지 절감 효과의 극대화를 위한 중소기업용 보급형 에너지 관리 솔루션을 스마트폰 기반으로 개발하여 에너지 원격검침 및 자동 제어, 원 단위 관리, 설비관리, 에너지종합관리 기술을 적용하여 에너지 절감 및 에너지 사용실적 분석, 에너지 효율분석, 각종 설비자원을 중앙제어방식에 의해 효율적으로 통제 및 활용 하고자 하는데목적이 있다. 이 기술의 적용을 통해 중소기업 제조 설비의 최적운전과 운용을 도모함으로써 제조 현장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제조 설비 시스템의 에너지 성능 극대화 및 수명 연장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너지관리시스템에 대한 투자여력이 없는 중소기업을 위하여 웹기반,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임대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기술로 구성 되며 핵심기술내용은 아래와 같다. - 스마트폰 앱 프로그램(110)을 이용한 에너지 모니터링, 분석, 제어 기능 - 이상 상황 발생시 SMS 발송 및 알람 기능 (전력 Peak시와 같은 상황에 SMS 발송) - 웹(WEB)기반의 에너지분석시스템(160) 및 에너지모니터링시스템(170) : 사용자가 집계된 데이터를 화면으로 분석, 가공할 수 있고 기타 정보를 직접 입력 및 출력관리 할 수 있는 웹(Web) 어플리케이션 기능 -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임대 어플리케이션)(180)기반의 에너지관리 기능 : 유사 업종 및 유사 지역의 중소제조기업들이 공동으로 에너지관리시스템 사용 : 월 사용료만 지불 하고 시스템 사용 - 기존 설비 조건 데이터 분석을 통한 학습패턴 확보 및 실험계획 및 상관 분석을 통한 알고리즘 기초정보 도출 기능 - 에너지 분석 시스템(160) 및 에너지 모니터링시스템(170) : 기술체계 분석, 관련공정분석, 원단위를 통해 에너지 소비량 분석 : 매출, 생산, 제품별 등 세분화된 에너지 원단위 관리 : 원단위 변화 원인 및 절감 방안 확보 기능 지원 : 에너지 기준정보/KPI(핵심성과지표) 관리 : 에너지 실적/효율/품질 분석 관리/에너지 소비패턴 분석 관리 : 에너지원별 특성 분석 : 설비별 에너지 효율 분석 (에너지 효율 분석을 위한 각 설비 특성별 고유의 효율 분석공식 산출 및 산출된 공식을 이용한 분석) : 설비별 에너지 절약 제어 (에너지 절약 제어를 위한 설비 특성별 고유의 제어 조건을 산출하여 제어) - 에너지가 사용되는 부하단으로 부터 사용량을 자동집계 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 기능 - 에너지관리의 필수 요소인 전력, 가스, 용수의 실시간 데이터 추출 및 에너지 절약 제어를 위한 원격검침장비(130)(M2M:Machine to Machine)과의 통신 기능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제조현장에 전력량계(121), 압력계, 유량계(122), 가스미터, 온수미터, 수도미터와 같은 계측기기(120)를 통하여 에너지 데이터가 수집된다. 수집된 에너지 데이타는 원격제어장치(130) 통하여 서버에 전송 되며, 전송된 정보는 자동계측제어시스템(140)을 통하여 에너지관리통합DBMS(150)에 저장된다. 저장된 에너지 데이타는 스마트폰 앱프로그램(110)을 이용하여 에너지 모니터링 및 제어를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제조현장 및 건물 내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기기의 전력소모량을 실시간 측정할 수 있는 저가의 유무선 통합 전력량계(121) 활용을 통해 시스템의 초기 구축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측정된 전력 소비량을 고객의 현장 상황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유무선 통합 원격제어장치(130)(M2M)를 활용하여 안정적으로 서버까지 측정 데이터를 전달할 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KUPA&cn=KOR102011013410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IPC분류체계CODE,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IPC분류체계CODE G06Q-050/06,G06Q-050/10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