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한국의 전통음식인 김치에서 분리된 젖산 박테리아 균주 DCY50 T 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해 발명하였다. 이 균주는 그램 양성, 촉매효소 음성, 계통 혐기성 (falcutatively anaerobic), 굴곡 막대형 및 운동성 세균이다.게놈 DNA의 G+C 함량은 49몰%이며 펩티도글리칸 구조는 A4α L-Lys-D-Asp 형이었다.화학적 계통 마커(표지자)에 기초하여, 상기 균주는 락토바실러스속 분류와 일치하였다. 16S rRNA 유전자 서열 유사성을 확인한 결과, DCY50 T 균주는 대부분 Lactobacillus parabrevis ATCC 53295 T (98.4%), Lactobacillus hammesii CIP 108387 T (98.0%), Lactobacillus brevis LMG 6906 T (97.6%) 및 Lactobacillus senmaizukei NBRC 103853 T (97.4%)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또 다른 한편, rpoA 유전자 서열의 계통 분석 결과 DCY50 T 균주는 상기 L . parabrevis ATCC 53295 T (91.6%), L.hammesii CIP 108387 T (91.2%), L.brevis LMG 6906 T (93.3%) 및 L.senmaizukei NBRC 103853 T (90.5%)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반면 이들 균주와 DCY50 T 균주 간 DNA-DNA 관련성 값은 36% 미만이었다.유전형 및 표현형 데이터에 따르면, DCY50 T 균주는 현재 공지된 모든 락토바실러스 종으로부터 분화 가능하며 신규의 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를 Lactobacillus koreensis sp. nov. 라고 명명하며 이의 표준 균주는 DCY50 T (=KCTC 13530 T )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