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발명 맹꽁이의 자연복원 서식장치는, 멸종위기2급으로 분류되어 있어 개체수가 희소한 맹꽁이를 자연 생태적으로 복원하기 위해 조성되는, 생태조성구조를 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① 맹꽁이의 서식장치를 조성하기 위한 지역의 하방을 최소 1m 이상을 파내 단단하게 다짐한 원지반다짐층 상부에 진흙, 점토, 양질토사 중 어느 하나로 최소 30cm 이상 방수층이 조성되는 기초지반과; ② 상기 맹꽁이의 서식 및 산란을 위해 수면이 얕고 아늑한 독립적인 분위기의 단위공간이 다수 구비되도록 그 외측 끝단이 구불구불한 형태로 조성되고, 상기 기초지반 상부는 부드러운 점질성토사인 진흙, 점토, 양질토사 중 어느 하나로 최소 30cm 두께 이상의 표토층이 형성되고 일정 넓이만큼 용수가 채워지며, 상기 맹꽁이의 산란에 적합한 pH(수소이온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애기부들, 꽃창포, 달뿌리풀, 갈대, 부들, 매자기를 포함한 정수식물 중, 갈대가 포함된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상태로 식재되는 저습지부와; ③ 맹꽁이에 대한 서식의 효율을 높이고 외부와의 접근을 어렵게 하는 완충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저습지부 둘레에 일정폭을 가지는 형태이되, 하부는 상기 맹꽁이의 먹이원이 되는 곤충이나 벌레의 서식과 맹꽁이의 하·동면에 적합한 서식구조를 위해 토사가 복토되고, 상기 토사 상부에 상기 맹꽁이의 먹이원인 지렁이와 개미와 벌레들의 서식을 위한 썩은 나무와 통나무와 짚더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상기 토사에 상기 맹꽁이의 먹이원인 곤충을 유인하기 위해 색깔이 화려한 비비추, 부처꽃, 왕원추리, 물레나물, 제비붓꽃, 삼백초, 참좁쌀풀을 포함하는 관목 및 초본 중, 색깔이 다른 어느 두 종 이상을 포함하여 식재시키는 완충토사지부와; ④ 상기 완충토사지부의 외측 둘레에 일정폭으로 맹꽁이 서식에 적합하고 수면을 방해하지 않는 환경을 위해 외부에서의 접근을 어렵게 하는 울타리용 식재로서 갯버들, 꼬리조팝, 쉬땅나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식재에 의해 조성되는 울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저습지부와 완충토사지부에 나무와 식재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는 개방수면(open space)이 70% 이상 유지되도록 식재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점점 사라져가는 맹꽁이가 자연상태에서 환경에 잘 적응하면서 그 생태가 복원될 수 있도록 맹꽁이의 서식처 조성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해 줌은 물론, 이러한 맹꽁이의 서식 복원을 통해청정 생태 환경을 보존 및 유지하는 데 유용하게 적용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