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특허/실용신안

유산균과 효소를 이용한 축산물발효방법

특허 실용신안 개요

기관명, 출원인, 출원번호, 출원일자, 공개번호, 공개일자, 등록번호, 등록일자, 권리구분, 초록, 원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출원인 박세준
출원번호 10-2011-0114478
출원일자 2011-11-04
공개번호 20130516
공개일자 0000-00-00
등록번호
등록일자 0000-00-00
권리구분 KUPA
초록 본 발명은 축산물발효방법에 관한 것으로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오리고기, 염소고기, 개고기 등 각종 고기에 고유의 냄새를 제거하고 부드럽고 식미를 높이는 발효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산균과 효모 등 발효종균이 cc당 수천에서 수억 마리가 생존해 있는 '미생물제제'를 고기의 정맥 또는 동맥에 주입시켜 발효하거나, 미생물제제에 침전시켜 발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미생물제제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인삼과 산수유, 구기자, 복분자, 삼백초, 오가피, 당귀, 감초, 곽향 등 각종 한약재와 향초, 쌀눈쌀겨, 대두, 현미, 보리 등 곡류와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 사과, 복숭아, 바나나 등 과일과 인체에 유용한 칼슘(Ca)ㆍ인(P)ㆍ칼륨(K)ㆍ나트륨(Na)ㆍ염소(Cl)ㆍ마그네슘(Mg)ㆍ철(Fe)ㆍ구리(Cu)ㆍ아연(Zn)ㆍ코발트(Co)ㆍ망간(Mn)ㆍ유기산ㆍ유황 등 무기염류를 비롯해 건강에 도움이 되는 물질이 용해된 배지에 발효에 효과적인 종균을 접종하여 발효를 통해 종균이 배양된 액체를 사용하거나 이를 건조하여 분말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종균은 유산균 또는 효모 등 발효에 효과적인 미생물을 말하며 무산소환경과 상온에서 증식이 활발한 미생물이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자가 개발하여 대한민국특허(제10-0536456호)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SJP6728AF1및 SJP6729AF2)속, 칸디다( Candida SJP6730AF3)속,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JP67225A)속, 바실러스(Bacillus SJP6731B1)속을 접종하여 상온에서 2일간 발효할 경우 한국인에게 기호도가 낮은 축산물을 기호도가 높은 삼겹살이나 등심, 갈비보다 더 부드럽고 가축 특유의 냄새를 느끼지 못하며 식감과 소화효율이 높아 소식에도 포만감을 느끼는 고기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발효된 축산물을 섭취할 경우 소화효율이 높아 발효하지 않은 고기를 섭취할 때 보다 배변에서 발생하는 독가스인 악취가 다음 표와 같이 현저하게 낮다. 방귀나 배설물에서 느끼는 악취는 음식이 소화기관에서 부패되었다는 증거이다. 겨울철 돼지농장과 양계농장에서 하룻밤만 환기에 문제가 생기면 떼죽음 당하는데 그 주범이 가축의 변에서 발생하는 악취이다. 사람도 악취가스가 방귀로 일부 배출되지만 대부분 혈관을 따라 온몸을 오염시켜 비만과 당뇨, 간염, 위장염, 두통, 탈모 등 만병을 만들고 피부로 배출되며 아토피, 건선, 피부노화의 주범임은 레벨 1급의 의학저널에 발표된 논문이 입증하고 있다. 그러므로 배설물에 악취농도가 낮다는 것은 소화효율이 높다는 증거이자 질병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증거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호도가 낮은 앞다리, 뒷다리, 설도, 사태, 목심을 한국인의 기호품인 삼겹살과 등심, 안심, 갈비 맛 보다 우수하게 하여 편중된 축산물소비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고 부패가 없어 유통기간을 늘려주는 효과와 축산물기름 과다섭취로 인한 부작용이 예방되고 특히 잔류농약이나 항생제, 중금속이 분해됨으로써 안전한 고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KUPA&cn=KOR102011011447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IPC분류체계CODE,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IPC분류체계CODE A23L-003/3571,A23L-001/31,A23L-001/015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