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특허/실용신안

활성부식물질을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방법

특허 실용신안 개요

기관명, 출원인, 출원번호, 출원일자, 공개번호, 공개일자, 등록번호, 등록일자, 권리구분, 초록, 원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출원인 서희동
출원번호 10-2001-0047820
출원일자 2001-08-08
공개번호 20080509
공개일자 2004-03-12
등록번호 10-0420756-0000
등록일자 2004-02-18
권리구분 KPTN
초록 본 발명은 부식물질의 풀브산(Fulvic acid) 및 금속착체가 유리의 상태로 유도되어 있으면서 자체산화기능, 산화탈취의 촉매의 기능, 유기물질을 거대 분자화하여 부식화 반응의 촉진기능 등을 기지고 있는 활성부식물질을 이용하여 하·폐수 및 생활오수 중 오염물질을 경제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활성부식물질 펠레트(16)와 활성화 미네랄(Minerals)성분이 다량 함유된 부석(15)이 충진된 생물반응기(14)가 내장된 토양미생물 배양조(13)에 침전조(5)에 침전된 반송오니 일부를 종오니로 공급받아 활성부식물질 펠레트(16)와 부석(15)에서 토양미생물의 생육에 필수적인 미네랄, 산화효소 및 기타 생리활성물질을 공급받아 활성화된 토양미생물을 배양하여 토양미생물을 폭기조(3)에 보내어 하·폐수 중 유기물질(BOD, COD), 질소, 인 등의 오염물질을 물에 불용성물질인 부식물질생성 전 단계의 부식전구물질(腐植前驅物質)로 전환하여 침전조(5)에서 고액분리를 하여 상등액은 처리수조(7)로 보내어 방류한다. 침전조(5)에 침전되는 오니는 스크랩퍼(Scrapper;6)에 의해 침전조(5) 중앙콘(Cone) 부분으로 모인 것을 집수조(1), 폭기조(3), 배양조(14)로 반송하며, 잉여오니는 농축조(10)에서 농축한 후 탈수기 시스템(System)으로 이송하여 탈수처리하고, 농축조(10) 익류수와 탈수여액은 집수조(1)로 반송한다. 특이한 사항은 산화환원전위(ORP) 값이 낮은 폐수의 경우에는 부식화반응이 느리거나 일어나가 어렵기 때문에 활성화된 액상활성부식물질을 배양조(13)와 폭기조(3)에 산화환원전위 값이 +350mV정도 유지될 수 있도록 주입하여 처리효율이 향상토록 하였으며, 산화환원전위(ORP)가 환원성 폐수인 경우에는 고상 활성부식물질 펠레트(16)와 부석(15)을 충진한 생물반응기(14) 만으로는 원활한 처리가 되지 않는 폐수도 고도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처리비용, 시설비, 처리효율이 일반활성오니법에 비해서 저렴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높기 때문에 하·폐수처리에 널리 보급될 것으로 기대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KPTN&cn=KOR102001004782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IPC분류체계CODE,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IPC분류체계CODE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