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가 내장되어 크기가 작고 반사면이 평평하지 않은 목표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
기관명 | NDSL |
---|---|
출원인 | 조원준 |
출원번호 | 10-2008-0099975 |
출원일자 | 2008-10-13 |
공개번호 | 20100427 |
공개일자 | 0000-00-00 |
등록번호 | |
등록일자 | 0000-00-00 |
권리구분 | KUPA |
초록 | 본 발명은 골프장에서 쓰이는 홀대 또는 핀과 같이 크기가 크지 않고 반사면이 평평하지 않은 목표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수많은 점이 모이면 선을 만들어내는 원리'를 바탕으로, 다수의 레이저 발광 다이오드를 일렬로 배열하여 레이저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형성하여 수많은 레이저 빔 포인트를 생성하고 레이저 빔의 진행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레이저 빔 선분을 만들어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공간적 제약이나 물리적 제약으로 인해 레이저 발광 다이오드를 연속으로 배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레이저 발광 다이오드 사이에 적절한 여유 공간을 남겨 놓고 레이저 발광 다이오드를 일렬로 배열하여 레이저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형성한다. 이럴 경우 레이저 빔의 진행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레이저 빔 점선을 생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목표물까지 거리측정을 하는데 있어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면 2 참조) 그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현재까지 상용화된 다양한 레이저 거리 측정기들이 작은 목표물까지의 거리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었던 주된 이유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에서 발사된 레이저 빔이 목표물에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목표물이 작을 경우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조준이 조금만 틀려도 레이저 빔의 진행거리가 길어짐에 따라 미세한 조준 오차가 점점 커지면서 결국에는 레이저 빔의 포인트가 큰 폭으로 목표물에서 멀어지기 때문이다. (도면 3참조) 하지만 레이저 발광 다이오드를 일렬로 배열하여 형성한 레이저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통해 레이저 빔의 진행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레이저 빔 선분 혹은 점선을 생성하여 목표물을 향해 발사할 경우에는 미세한 조준 오차가 생기더라도 레이저 빔 선분 또는 점선을 구성하는 많은 레이저 빔 포인트 중 한 개 이상의 포인트가 목표물에 명중할 수 있게 된다. (도면 2 참조) 따라서 크기가 작아 반사면이 작은 목표물까지도 높은 정확도로 거리측정을 할 수 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KUPA&cn=KOR1020080099975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IPC분류체계CODE | G01B-011/14,G01C-003/06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