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고분자의 난 분해성 유기계 폐수를 활성오니를 이용한 생물학적방식으로 처리할 경우, 최적의 경제성으로 최대의 처리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 처리공정이 특징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통상 활성오니를 이용한 생물학적방식으로 폐수를 처리할 경우는, 원폐수를 직접 처리하기 이전에 중화제 및 화학약품(응집제)을 투여하여 폐수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화학응집침전반응을 통한 물리화학적 처리방식에 의한 전처리공정을 수반토록 함으로서 원 폐수 중에 포함된 유기물의 안정화 및 호기성 미생물의 생육여건을 조성하여 효율적인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난 분해성 유기계 폐수의 경우, 대부분이 비 이온(ION)성으로서 이러한 전처리공정으로는 응집제에 의한 응집반응 효과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이 극히 미미하여 약품을 과다하게 투입함에 따른 운전경비의 부담은 물론 오히려 COD 등 유기오염물질의 상승 원인이 되어 다음 단계인 호기성 활성오니 미생물의 생육여건에 악역향을 끼치게 됨으로서 결국에는 전체 폐수처리시스템의 운영이 실패로 이어지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응집침전반응에 의한 전처리공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화학응집침전반응공정의 전 단계에 임의성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흡착반응공정을 추가시켜 비 이온 - 용해성 상태의 난 분해성 유기물을 반송오니에 포함된 미생물의 흡착 작용에 의하여 먼저 응집 반응이 가능한 상태로 변화시킨 후 응집제와의 응집반응이 일어나도록 하여 난 분해성 유기계 폐수의 화학응집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난 분해성 유기계 폐수의 처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