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발명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발효 식품인 김치를 이용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섭취가 가능하도록 제조된 기능성 식품에 대한 제조 처방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인의 식생활 패턴은 이미 서구화로 전환되었으며, 생활 수준과 삶의 질이 향상되어서 먹거리 자체부터가 고열량, 저영양화 혹은 과도한 영양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하루를 바쁘게 살아가야 하는 현대인들이 간편하고 쉽게 접할 수 있는 이미 서구화된 페스트푸드들이 식탁을 점유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비만과 각종 성인병, 대장암 등 서구인적인 경향으로 질환들의 특징들이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웰빙의 순풍을 타고 다시금 우리나라의 전통음식의 우수성이 부각되면서 국내뿐 아니라 외국에서도 우리나라의 전통 먹거리인 슬로우 푸드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은 진정 다행스런 일이 아닐 수 없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전통 음식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그 중에 서도 가장 쉽게 떠 올리는 것이 바로 김치이다. 88년 올림픽을 기점으로 김치가 전 세계적으로 많이 알려지게 되었고, Codex 국제식품규격위원회에서 8단계의 논의를 거쳐 한국의 배추 김치에 근거하여 2001년 7월 Codex규격이 채택됨으로써 명실공이 김치는 우리나라의 대표음식으로 공인받게 된 것이다. 더욱이 반가운 사실은 미국의 권위 있는 건강 전문지'Health(2006년 3월)'에서 한국의 김치, 일본의 낫토, 스페인 의 올리브오일, 그리스의 요구르트, 인도의 렌틸콩을 세계 최고의 5대 건강식품으로 선정하여 발표하였다. 세계인이 주목하는 발효식품인 한국의 전통 김치에는 비타민 A, B, C 등 인체의 신진대사에 필수적인 핵심 비타민들이 풍부하고 유산균과 식이 섬유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건강에 매우 유익하다고 발표하였다. 또한, 김치가 암세포의 성장을 막아주고 과도한 체중의 증가를 막아주는 효과도 있다는 사실도 헬스지에서 강조되었다. 하지만 안타까운 현실은 이 김치의 소비량이 한국인들에게서 점점 줄어들고 있으며, 김치의 특이한 냄새와 강한 맛 때문에 김치의 효능이 우수함을 알면서도 꺼리는 청소년들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을 개선하고 더 나아가 우수한 우리의 김치를 쉽게 접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상품화함으로써 김치의 전통을 이어가면서 김치가 가지고 있는 우수한 효능을 간편하게 섭취하고자 본 발명을 하게 된 것이다. 김치는 숙성과정에서 여러 가지 미생물과 효소가 작용하여 특유의 맛을 내고 2~7℃의 온도에서 2~3주간 자연적으로 숙성시킨 상태가 가장 맛있고 영양가치도 높다. 또한 이 때 젖산발효(유산발효)에 의해 생성된 젖산(유산)은 다른 유기산과 함께 채소성분과 유기적으로 조화되어 적정농도(염도 2~3% 정도) 상태에서 유익한 균의 활동을 촉진하고, 유해균의 활동은 억제한다. 여기서 김치에 대한 효능을 간단히 살펴보고 본론으로 들어가고자 한다. 적당한 숙성기간을 거쳐 독특한 맛과 향을 지니게 된 김치를 먹으면 1일 아스코르브산 필요량의 80% 이상을 섭취하게 된다. 그리고 김치에 들어가는 마늘의 알리신은 비타민 B 1 의 흡수를 촉진시키며 체액의 균형을 조절해 주고 각종 젓갈과 해산물들은 양질의 아미노산 공급원이 된다. 또한 김치의 숙성에 따라 생성되는 다양한 유기산과 알콜 에스테르 등은 구미와 식욕을 돋구어 주는 역할을 한다. 김치의 주재료로 이용되는 배추 등의 채소는 풍부한 식이섬유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