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경남 창녕지역 우포늪 현세 퇴적물의 광물 및 지구화학적 특성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지질학회지 =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ISSN 0435-4036,2288-737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윤현수,남욱현,양동윤,홍세선,김주용,김정찬,이진영,김진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9-01-01
초록 경상남도 창녕군 우포늪에서 4.490 m 길이의 시추퇴적물(UP-1 시추공)을 획득하여 광물 및 지구화학적 특성을 해석하였다. 시추퇴적물은 퇴적물 특성을 기준으로 하부에서부터 단위층 1(점토질 실트), 단위층 2(실트질 점토), 단위층 3(점토질 실트), 그리고 단위층 4(점토질 실트) 등 모두 4개 층서단위로 구분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실트 또는 점토질이 우세하나, 단위층 3의 하부구간에는 얇은 사질층이 3매 협재되고 있어 퇴적환경이 일시적으로 변화하였음을 나타내고 있다. XRD 분석 결과로 미루어 시추퇴적물은 전체적으로 유사한 광물조성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주원소성분의 변화양상은 대체로 크지 않다. 그러나 단위층 3의 하부구간의 사질층에서는 호우 또는 이와 연관된 홍수 등으로 인하여 SiO₂, K₂O, Na₂O 등의 성분이 풍부한 석영과 장석류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A-CN-K와 A-CNK-FM 몰도에서도 단위층 3의 하부구간 시료는 다소 동떨어진 분포를 보이나, 그 밖의 퇴적물은 밀집되어 도시된다. 미량원소는 대부분 특이한 변화 경향을 보이지 않으나, 단위층 3의 하부구간에서 역시 다소의 변화양상을 이룬다. 희토류원소 표준화도에서 경희토류원소는 급격히 감소하며 중희토류원소는 다소 평평한 분포 경향을 보이며, 미약한 Eu의 부 이상을 이룬다. 시추퇴적물 및 근원지 토양시료의 광물조성 그리고 지구화학 변화경향 등으로 미루어, 우포늪에는 전체적으로 근원지로부터 공급된 퇴적물의 조성이 거의 유사했으며, 단위층 3의 하부구간에서는 주변부에서 호우나 이와 연관된 홍수 등의 지표환경 변화로 인하여 퇴적물 유입양상이 변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033521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우포늪,시추퇴적물,광물조성,지구화학,지표환경 변화,Upo wetland,core sediments,mineralogical composition,geochemical composition,changes of depositional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