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장기 지역 제3기 범곡리층군의 화산쇄설성 암상과 층서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지질학회지 =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ISSN 0435-4036,2288-737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노진환,홍진성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0-01-01
초록 장기 지역에 주된 분포를 보이는 마이오세 범곡리층군의 화산쇄설성 암상과 퇴적상을 밝히기 위해서 이 층군을 구성하는 암체들에 대한 산출상태, 분포양상, 및 암석학적 특징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 지역의 범곡리층군은 유문데사이트 성향의 부석질 용결응회암이 주된 암상을 이루고 많은 양의 부석편과 화쇄류 위주의 퇴적양상이 특징적인 소위 'medial-to-distal ignimbrite facies'에 해당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기저부에 발달하는 특이한 층상의 진주암체와 제올라이트 내지 스멕타이트로 속성변질된 부석질 퇴적층의 존재는 이 지역의 일부가 소택지 내지 호성 퇴적환경 하에 있었음을 시사한다. 범곡리층군 구성암체들의 횡적 연계성의 결여는 동일한 시기에 파생된 화산쇄설물의 분출 및 냉각 상의 차이와 수화 #x2024;변질 상의 다양성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따라 진주암층을 기저층으로 설정한 기존의 지층 구분과 층명은 수정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441284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범곡리층군,화산쇄설성,부석질,용결응회암,화쇄류,이그님브라이트,진주암,제올라이트,스멕타이트,Beomgockri Group,pyroclastic,pumiceous,welded tuff,pyroclastoc flow and surge,ignimbrite,perlite,zeolite,smect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