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지수 이미지를 이용한 후기 제 4기 동해 퇴적물 코어의 고해상 층서 복원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지질학회지 =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
ISSN | 0435-4036,2288-7377 |
ISBN |
저자(한글) | 박옥분,남승일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0-01-01 |
초록 | Avaatech XRF 코어 스캐너에 장착된 3-CCD (charge-coupled device) 라인 스캔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해 서부 해역에서 획득한 3점의 퇴적물 코어 (05GCRP-13, 14, 15)의 고해상도 이미지와 색지수(color parameter)를 얻었다. 각 퇴적물코어에서 촬영한 고해상도 이미지와 색지수 (CIE-L * a * b * ) 값을 이용하여 정밀한 층서를 정립하였다. 특히 3점의 시추 퇴적물에 대한 보다 정확한 층서를 정립하기 위하여 코어 05GCRP-15 의 밝기와 AMS 14C 연대측정자료 그리고 협재된 5개 화산재 층을 이용하여 동해 남동해역의 오키(Oki) 해령에서 획득한 코어 MD01-2407과 정밀하게 대비하였다. 층서자료에 의하면 3점의 시추 퇴적물 코어는 MIS (marine isotope stage) 5.2인 약 94 ka 전 이후 퇴적되었다. 색지수 L * a * b * 값은 동해에서 획득한 퇴적물의 대비뿐만 아니라 퇴적물의 유기탄소함량이나 칼슘(Ca) 등 일부 원소의 함량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다. 특히 후기 제 4기 동해의 퇴적층에 기록된 밝고 어두운 색이 교호하는 층은 빙하기-간빙기 중 밀레니엄 주기로 일어난 고해양 환경 변화를 잘 반영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단주기성의 퇴적물 색변화는 NGRIP (North Greenland Ice Sheet Project)에 기록된 산소동위원소(δ 18 O)의 D-O (Dansgaard-Oeschger) 단주기 기후변동 기록과 매우 잘 대비되었다. 따라서 동해시추 코어 퇴적물에 기록된 고해상의 색지수는 향후 퇴적물 코어의 정확한 층서확립과 고해양 환경변화의 정밀복원을 위한 연구에 유용한 프록시로 활용될 수 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6069552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퇴적물의 색,고해양/고기후,후기 제 4기,NGRIP δ lt,SUP gt,18 lt,/SUP gt,O,D-O 주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