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포항지역에 분포하는 장기층군 금광동층 - 층서, 산상 및 식물화석층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지질학회지 =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ISSN 0435-4036,2288-737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백인성,강희철,김현주,이호일,김경식,정은경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0-01-01
초록 연구지역의 장기분지는 전기 마이오세 동안에 동해확장과 관련된 우수향주향이동성 단층운동에 의하여 형성된 인리형 분지이다. 포항지역 장기분지의 장기층군은 하부로부터 정천리역암, 눌대리웅회암, 금광동층, 신정리층 등으로 구분되며, 장기층군 지층의 상위에는 제4기의 천해-풍성구 퇴적층이 경사부정합의 관계로 발달되어 있다. 금광동층은 셰일층을 비롯한 이질퇴적층이 반복되어 발달하는 대체적으로 단조로운 퇴적상의 발달을 보이나, 세일층의 피실리티 발달 정도와 조직 등에 의해 이질퇴적층은 박엽층상 세일, 세일, 세일질 이암, 엽층상 실트질 이암, 이암 등 크게 5개의 유형으로 나타나며, 이 외에 웅회질 역암, 웅회질 함력사암, 웅회질 사암등의 퇴적상이 간헐적으로 발달되어 있다. 금광동층의 이질암들은 대부분 60 내지 80% 내외의 높은 규산함량을 보이며, 이와 같은 특성은 웅회질 퇴적물의 함유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금광동층의 발달 기간 동안, 하성의 퇴적작용에 의한 조립질퇴적물의 호수충진현상은 제한적이었던 반면, 부유퇴적에 의한 호저퇴적층의 수직적 누진 (aggradation)이 지배적으로 일어난 것으로 해석된다. 금광동층의 퇴적은 화산활동이 상대적으로 약화되었던 시기의 기록으로 해석되며, 이로부터 다량의 식물화석을 함유한 수십 m 두께의 웅회질 세일로 이 루어진 금광동층이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19과 31속 44 분류군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중에는 처음 기재되는 미기록 분류군(20 분류군)이 포함되어 있어 금광동층에서 기재된 화석식물은 모두 27과 43속에 속하는 64 분류군이 된다. 이 중 우점분류군은 메타세쿼이아속(Metasequoia), 너도밤나무속(Fagus), 자작나무속(Betofa), 참나무속(gweraw), 단풍나무속(Acer), 느티나무속(Zettora) 등이다. 금광동층 식물화석의 화석화과정은 호수주변 산지에서 발생한 홍수에 의해 운반되어 호저에 퇴적된 것이 아니라, 일차적으로 이들 잎들이 바람에 의해 나무에서 분리된 후에 바람에 의해 이동되어 호수 위에 직접 떨어졌거나 호숫가에 떨어진 다음 이후의 범람에 의해 호수로 유입되어 호저에 쌓이는 화석화과정을 거친 것으로 해석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86088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포항,장기층군,금광동층,층서,식물화석층,화석화과정,Pohang,Janggi Group,Geumgwangdong Formation,stratigraphy,fossil leaf deposits,taphon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