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XRF 코어 스캐너를 이용한 조석사주 시추코어 지화학 분석 - 시추코어 퇴적층서분석에의 적용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지질학회지 =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ISSN 0435-4036,2288-737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장태수,남승일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1-01-01
초록 nbsp; nbsp;황해 아산만 중앙천퇴에서 시추된 조석사주 퇴적물코어에 대하여 XRF 코어 스캐너로 분석한 지화학 원소의 수직분포와 퇴적층서를 대비하였다. 원소 분석기로 분석한 유기 지화학 자료, 유기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값과 lt;sup gt;14 lt;/sup gt;C 연대측정자료를 층서 대비에 이용하여 XRF 원소분석이 퇴적층서분석에 어느 정도 유용한지를 밝혔다. 먼저 퇴적상분석 결과, 중앙천퇴는 하성퇴적물, 해침잔류퇴적물, 염하구 조간대 및 조석사주퇴적물의 4개의 퇴적상 조합으로 구분된다. 전체적인 퇴적층서는 상향조립화 경향을 나타내며, 이는 홀로세의 해수면 상승에 따라 해침에 의한 잔류퇴적물과 조간대 위에 조립의 사주퇴적층이 놓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층서분석 결과와 XRF 원소분석 값의 변화는 잘 일치한다. 육성기원의 Al, Si, K, Ti 및 Fe 값은 하성퇴적물 구간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조간대 구간에서는 중간 값을, 해양환경의 사주퇴적물 구간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낸다. 생물기원의 Ca, Mn, Br 및 Sr은 이와 반대의 경향을 보인다. 유기지화학 및 안정동위원소 분석자료에 의하면, 조간대 구간은 육성기원 유기물이 우세한 반면에, 사주퇴적물에는 해양기원의 유기물이 비교적 우세하게 유입되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천해 혹은 조석 퇴적물에 대한 XRF 코어 스캐너를 사용한 원소분석은 유용하며, 고환경분석의 프록시로 사용 가능하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86091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XRF 코어스캐닝,지화학 원소 로깅,조석사주,퇴적층서분석,아산만,XRF core-scanning,geochemical core logging,tidal sand bar,lithostratigraphic analysis,Asan B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