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STRATIGRAPHY AND CHRONOSTRATIGRAPHIC BOUNDARIES OF THE PERMIAN AT THE GANZHAI SECTION,PINGTANG,GUIZHOU PROVINCE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微體古生物學報 = Acta micropalaeontologica Sinica |
ISSN | 1000-0674, |
ISBN |
저자(한글) | CHANG, Xiaolin,SHI, He,LI, Kui,HU, Fa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2-01-01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다종 지층 분류 기법을 이용하여, 구이저우(貴州) 핑탕현(縣) 간자이(甘寨) 절단면 암석 층서를 정리하고, 절단면의 이첩기를 아래에서 윗부분 순서로 Maping, Liangshan, Qixia, Maokou, Heshan과 Dalong 포메이션으로 분할하였다. 절단면에서 얻은 이첩기 화석 27속(屬) 60종(種)의 지층 분포 특징을 이용하여, 절단면을 아래에서 윗부분 순서로 9개 화석 존(Zone)으로 나누고, 기타 인근 구역 화석 존과 세계에서 대응되는 화석 존과 비교하여 연대학적으로 지층을 분할하였다. 국제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이첩기 3분할 기법으로 이첩기를 3시리즈 8단계로 나누어, Maping 존은 다이아크로너스(diachronous) 지층 유닛으로 전기(前期) 석탄기와 후기 이첩기를 거쳤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Maokou 존에 존재하는 통시(diachronic) 현상으로 절단면이 Longlinian 단계의 지층을 누락한 것으로 추측하였다. 또한, 논문에서는 절단면 탑에서 획득한 콘노돈트와 암모나이트 화석을 근거로 P/T 경계를 연구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1053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fusulinid foraminifera,conodont,biostratigraphy,chronostratigraphic boundaries,Permian,Pingtang County,Guizhou Province,유공충,콘노돈트,생물 층서,연대학적 지층 경계,이첩기,핑탕현,구이저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