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ocene ischyromyids(Rodentia, Mammalia) from the Erlian Basin, Nei Mongol, Chin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古脊推動物學報 = Vertebrata Palasiatica
ISSN 1000-311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 Qian,MENG, J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네이멍구 얼롄 분지의 후허보얼허 지역(Huheboerhe area of Erlian Basin in Nei Mongol Huheboerhe area)에서 얻은 시신세(Eocene) ischyromyids 화석을 기술하였으며 해당 화석에는 후허보얼허 단면의 이얼딩만하층(Yierdingmanha Formation) 기초 층서에서 얻은 Asiomysdawsoni 및 누허팅보얼허(Nuhetingboerhe) 단면의 아산터우층(Ashantou Formation) 기초 지층에서 얻은 Ischyromyidaegen.etsp.indet이 포함되었다. 그중 Asiomys과 기타 ischyromyids의 차이는 하악(lower jaw)이 두껍고 높은데 있었다. 교근 구멍(masseter fossa)은 뚜렷하였고 앞쪽 변두리는 넓었으며 비교적 뚜렷한 결절(tubercle)이 있었다. P4에는 하이포콘(hypocone)이 없었으며 M1과 M2의 하이포콘은 작았다. metaconule이 2개 있었다. dp4에는 뚜렷한 hypolophid이 있었으며 p4에는 hypolophid이 없었다. 하악 구치부(lower molar)에 있는 protoconid의 뒷쪽 가장자리 길이는 서로 달랐으며 하이포코니드(hypoconid)와 하악 뒷쪽 치대(basal ridge)는 연결되었다. 완전한 ectolophid을 갖고 있었으며 hypolophid는 짧았다. Asiomys의 하악 특성은 Paramysdelicatus과 비슷하였으며 앞니 사기질층(incisor enamel layer), 상악 구치부(upper molar)의 하이포콘, 하악 구치부의 hypolophid 등 구조 특성은 북아메리카(north America) 시신세 중기( middle Eocene )의 ischyromyids과 비슷하였으며 아시아(Asia)에서 이미 알려진 ischyromyids과 비교적 큰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Asiomys는 시신세 중기에 아시아와 북아메리카 대륙의 포유동물 사이에 교류가 있었다는 증거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861226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Huheboerhe area in Nei Mongol,Eocene,ischyromyids,네이멍구 후허보얼허 지역,시신세,ischyromy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