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SYNTRAK-480형 고해상도 디지털 지진계(digital seismograph)를 사용하여 동중국해(East China Sea) 육붕분지 지층을 탐사하였다. 전 구역 지진파 데이터를 분석하였고 지진 반사파 및 반사계면의 특성에 근거하여 T 0 2 , T 0 3 , T 0 4 , T 0 5 , T 0 6 , T g 6개 반사계면을 확정하였다. T 0 2 , T 0 4 , T 0 5 , T 0 6 , T g 반사계면을 중점적으로 추적연구 및 비교분석하였고 통일적인 지진파 층서 및 지층 구조를 확립하였다. 지진파 층서 분할 원칙과 방법에 근거하여, 기저 반사계면 위의 지진파 반사층을 위에서 아래로의 순으로 Ⅰ(해저-T 0 2 ), Ⅱ(T 0 2 -T 0 5 ), Ⅲ(T 0 5 -T 0 6 ), Ⅳ(T 0 6 -T g ), Ⅴ(T g 이하) 5개 층서로 분할하였다. 이 가운데의 제2 지진 층서를 세분할 하면 Ⅱ 1 , Ⅱ 2 서브(sub)층서가 나온다. 연구지역과 인접한 기존의 바다-육지 지진파 자료와 비교분석하여 이 지역의 5개 지진파 층서 지질연대가 각각 Q+N, E 3 +E 2 +E 1 , K, J, 전기 중생대임을 밝혔다. 탐사목표층에 위치한 중생대 퇴적은 석유/가스의 매장 가능성을 높였다. 특히, 민장(Minjiang) 함몰 및 지룽(Keelung) 함몰 지역의 매장 전망은 밝으며 중점 탐사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