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HARACTRISTICS OF SESMIC SEQUENCES IN THE EAST CHINA SEA SHELF BASIN AND THEIR GEOLOGICAL ATTRIBUTE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地質與第四紀地質 = Marine geology quaternary geology
ISSN 0256-149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Wen-juan,LI, Gang,YANG, Zhang-qing,YANG, Chuan-she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SYNTRAK-480형 고해상도 디지털 지진계(digital seismograph)를 사용하여 동중국해(East China Sea) 육붕분지 지층을 탐사하였다. 전 구역 지진파 데이터를 분석하였고 지진 반사파 및 반사계면의 특성에 근거하여 T 0 2 , T 0 3 , T 0 4 , T 0 5 , T 0 6 , T g 6개 반사계면을 확정하였다. T 0 2 , T 0 4 , T 0 5 , T 0 6 , T g 반사계면을 중점적으로 추적연구 및 비교분석하였고 통일적인 지진파 층서 및 지층 구조를 확립하였다. 지진파 층서 분할 원칙과 방법에 근거하여, 기저 반사계면 위의 지진파 반사층을 위에서 아래로의 순으로 Ⅰ(해저-T 0 2 ), Ⅱ(T 0 2 -T 0 5 ), Ⅲ(T 0 5 -T 0 6 ), Ⅳ(T 0 6 -T g ), Ⅴ(T g 이하) 5개 층서로 분할하였다. 이 가운데의 제2 지진 층서를 세분할 하면 Ⅱ 1 , Ⅱ 2 서브(sub)층서가 나온다. 연구지역과 인접한 기존의 바다-육지 지진파 자료와 비교분석하여 이 지역의 5개 지진파 층서 지질연대가 각각 Q+N, E 3 +E 2 +E 1 , K, J, 전기 중생대임을 밝혔다. 탐사목표층에 위치한 중생대 퇴적은 석유/가스의 매장 가능성을 높였다. 특히, 민장(Minjiang) 함몰 및 지룽(Keelung) 함몰 지역의 매장 전망은 밝으며 중점 탐사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724693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high resolution seismic exploration,seismic sequence,geological attributes,Mesozoic deposit,the East China Sea Shelf Basin,고해상도 지진파 탐사,지진파 층서,지질 속성,중생대 퇴적,동중국해 육붕 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