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 Wen,Yu, Xinghe,Zeng, Xiaoming,Wang, Jianzhong,Shan, Xin |
초록 |
중신세(Miocene) 말기 이후 중국 남해에 발생한 지질구조 운동과 잉츙 분지(Yingqiong Basin), 주장 분지(Zhujiang Basin) 및 세계 해수면 변화에 근거하고, 지진 반사 종단관계(seismic reflection terminating features)와 결합하여, 선후 해역(Shenhu region)의 신제3기(Neogene) 수화물 조사지역을 8개 지진 층서(seismic sequence)로 나뉘었다. ''외형과 내부구조''의 기본원칙에 근거하여, 지진 항력조파(wave drag)의 내부 반사 구조에 외부적 기하 형태를 첨가한 후, 지진 물리적 성질 특성(외관상 진폭, 외관상 주파수, 연속성)에 결부하여, 연구지역에서 보충상(filled), 언덕상(mound), 돗자리상(sheet), 렌즈상(lens), 플랫상(flat), 쐐기상(wedge) 등 6류 19종 지진상을 식별하였다. 지진 반사 파라미터와 퇴적 작용의 대응관계에 따라 단일 갱도 검층상(single well log facies)과 결부하여, 해당 지역의 지진상과 퇴적상 전환을 진행하였다. T2 이상의 3급 층서 평면 퇴적상 분포도를 4개 작성하였으며, 저부(bottom) 4개 지층의 평면 퇴적상 분포를 추정하였다. 수화물 시추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수화물이 주로 슬럼프(slumping) 주위에 분포하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