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tudy Of Seismic And Sedimentary Facies Of The 2nd And 4th Members Of The Xujiahe Formation In The Great Central Sichua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地質前沿 = Marine geology frontiers
ISSN 1009-272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ng, Bing,Wang, Xuben,Zhou, Gang,Wu, Chaorong,Zhao, Wenl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20세기 40년대로부터 쓰촨 분지(Sichuan Basin)의 삼첩기(Upper Triassic) 쉬자허층(Xujiahe Formation)에서 석유, 가스를 탐사하기 시작하였다. 그 중 쉬자허 2층, 4층, 6층은 주요 탐사층이었으며, 해당 층서(sequence)는 새로운 가스원을 탐사하는데 가장 유리한 층서였다. 지진 지층학 기법과 이론에 근거하여, 시추(well drilling) 자료와 검층(logging) 자료에 결합하여, 쓰촨 중부지역의 쉬자허층을 SB1~SB7 등 7개 지진 층서(seismic sequence)로 나뉘었다. 상응하는 6개 최대 호침면(large lake flooding surfaces)을 각각 MFS1~MFS6으로 표기하였으며, 각 층서의 탄성파 반사(seismic reflection) 특성을 종합하였다. 탄성파 반사의 내부 구조, 외부 형태, 반사파 정지 유형을 이용하여, 쓰촨 중부지역의 쉬자허 2층과 4층에서 평형-준평형 지진상, 전면층(foreset) 지진상, 언덕상(hummocky) 지진상, 렌즈모양 지진상, 분산모양 지진상 등 5가지 지진상(seismic facies)을 식별하였으며, 18개 2차원 지진 단면을 이용하여 지진상을 해석하였으며, 쉬자허 2층과 4층의 지진상 평면 분포도를 제작하였다. 지진상에서 퇴적상으로 전화한 후, 쉬자허층은 선상지(alluvial fan), 선상지 삼각주(fan delta), 뜨개질형 하천 삼각주(braided river delta), 호수 등 퇴적체계로 나뉘었다. 쓰촨 중부지역의 쉬자허 2층과 4층 퇴적상(sedimentary facies) 평면도를 제작하였으며, 쓰촨 중부지역의 쉬자허층 지질구조 패턴의 변화법칙을 분석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336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entral Sichuan area,Xujiahe Formation,seismic stratigraphy,seismic facies,sedimentary facies,쓰촨 중부 지역,쉬자허층,지진 층서,지진상,퇴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