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ZHONG, Ze-hong,ZHANG, Ying-chao,HE, Xiao-hu,XU, Tao,REN, Jian-ye,LIU, Xiao-yan,LING, Tao,HAN, Guang-ming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순차층서학적 연구를 통하여 중국 잉거하이 분지(Yinggehai Basin)의 둥팡(Dongfang) 지괴 황류층(Huangliu Formation)에 있는 대형 해저 선상지 복합체의 전체 윤곽을 확정하였고, 또한 황류층의 첫 번째 멤버를 6개의 네 번째(4-order) 층서로 상세하게 나누었으며 그중 SQHL1 1 -SQHL1 3 층서(LST)는 둥팡 지괴 해저 선상지 복합체의 주요 발달 층위였다. 고해상도 순차층서학적 분석을 토대로, 여러 발달 단계를 거친 해저 선상지 로브의 분포를 확정하였는데 시간 간격은 다섯 번째(5th-order) 층서의 모래가 평면에서의 각종 분포 형태에 해당되었으며, 또한 이에 따라 단일 선상지 로브, 복합 선상지 로브 및 단일 수로로 나눌 수 있었다. 단일 선상지 로브는 해당 지괴에서 보기 드물었으며 둥팡 29-1 지괴 선상지 로브가 대표적이었다. 복합 선상지 로브는 여러 단일 선상지 로브의 상호 절단 및 중첩 혹은 만곡 수로의 장기간 발달로 형성된 복잡한 형태로써 한층 더 세분화하기 어려웠으며, 또한 해당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유형이었다. 단일 수로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고립된 수로였다. 결론적으로, 해당 지괴의 해저에서 단일 선상지 로브 및 복합 선상지 로브의 주요 퇴적 단위는 주요 수로와 분기 수로의 현미퇴적상이었다. 둥팡 지괴 해저 선상지의 복잡한 내부 구성 형태는 지역 구조 운동, 근원지 및 구조 전이대 발달 등 요인과 상관성을 보였다. 잉거하이 분지 T31 층서 경계면이 형성되기 전과 후 일련의 지역 구조 운동 사건이 발생하였으며 또한 퇴적에 영향을 미쳤다. 동시에, 둥팡 지괴 서부의 잉시(Yingxi) 대륙사면는 구조 전이대 부위에 위치해 있으며, 베트남 중부의 란장 강 근원지로 하여금 꼰뚬(Kontum) 융기를 통하여 분지의 단축 방향을 따라 둥팡 지괴에 들어감으로써 대면적의 삼각주 및 삼각주 앞쪽의 대형 해저 선상지를 형성하였으며, 또한 다양한 유형의 모래 구성 양식을 형성하였다. |